기축일주에 대하여 배워 보겠습니
사진출처: unplash.com
목차
1. 기축일주 형상, 성격, 특성
2. 기축일주 운세의 영향
1. 기축일주 형상, 성격, 특성
기축 일주는 황우로 대표적인 누런 소의 형상입니다.
특성으로는 간여지동, 그리고 화개살 (종교적 기운) 이 있습니다.
기축일주의 성격은 고집과 뚝심이 있으며, 무엇보다 깊은 지혜를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말보다는 행동과 실천을 하는 성실성이 있는 성격이 많습니다.
축(丑) 토는 기토의 식상인 금(金)의 묘고지 입니다.
묘고지는 모으고, 끌어당기고, 가두고, 관리하는 작용을 한다고합니다.
그래서 재성의 묘고지가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자산가가 많다고 합니다.
기축일주는 식신인 금의 묘고지가 있으니, 자녀를 잘 돌보고 키운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어린이를 가르치는 유치원, 어린이집 선생님이 딱입니다.
혹 스님이나, 목사님이 되어도 많은 사람들을 모으고 관리를 잘할수 있습니다.
직장에서는 부하직원들이 잘 따르게 될 것입니다.
단. 신강하여 토 土(비,겁)가 기신이라면 전혀 다르게 해석 할 수 있습니다.
己(土) 기토는 입(口)입니다.
식신이 암장된 축토까지 더불어 말이 많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말을 경청해 주기를 바라고, 남에게 해 준 만큼 보상을 받고 싶어 합니다.
암장 된 계(癸) 水가 있어 재성에도 집착이 있을수 있습니다.
그래서 끈기있게 노력하고, 착실하게 저축하는 성분으로 세월이 갈수록 유복해 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토 특유의 성분으로 겸손함과 충실함, 정직함의 성격이 있습니다.
또한 주는 것을 좋아합니다.
직업적으로는 군, 경, 검, 에도 인연이 많으며, 종교계, 육영사업 등에도 탁월한 재능이 있습니다.
2. 기축일주 운세의 영향
酉(금) 운이 오면 사유축 삼합을 이룹니다.
비견과 식상이 합이 되는 것으로 지출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
식상이 용신이면 아랫사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기신이라면 아랫사람의 배신과 함정에 빠집니다.
식상이 기신이라면 관성을 충하기에 관재나 송사에 걸려들수도 있습니다.
원국을 보고 용신이 식상이 기신인지 판단하여, 아랫사람의 배신과 음모를 조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 식상이 용신과 희신이라면 좋은 운을 맞이하게 됩니다.
사업이 확장되고 번창되며, 여명에 자녀들이 건강하고, 원하는 것을 이루며 투자하는 것은 성공을 거둘수 있는 운입니다.
未(土) 미토 운을 만나면 축,미 충을 하게 됩니다.
이동수, 변동수가 생기며 특히 친구와 형제자매 간의 갈등이 생깁니다. 흔히 토의 충으로 부동산 분쟁으로도 봅니다.
축술미 삼형살이 되어 은혜를 망각하여 배은망덕의 기운도 있습니다.
이는 戌(토)를 만나도 같은 작용입니다.
이때는 항상 주의하고 조심하며, 쉬어가는 운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원국을 해석하기에 따르 다르게 작용할 수는 있습니다.
'명리학 초급편 > 일주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己巳)일주 요약 (0) | 2025.02.22 |
---|---|
기묘(己卯) 일주 요약 (0) | 2025.02.21 |
무술(戊戌)일주 요약 (0) | 2024.04.17 |
무신(戊申)일주 요약 (0) | 2024.04.16 |
무오(戊午)일주 요약 (0) | 2024.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