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1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6편(신살, 12운성, 공망) 2장은 신살과 12운성, 그리고 공망에 대하여 나옵니다. 앞전 4편에서 신살과 12운성을 간략히 설명했는데, 이번에는 12운성에 내용까지 설명해줍니다.물론 간략하게 참고만 할 정도로 읽어보면 좋겠습니다. 신살으 종류와 해석(神)신은 좋은 작용을 하는 것이고 (殺)살은 나쁜 작용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그래서 글신과 흉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낭월 박주현 선생님은 십이신살은 참고만 하기 바라며, 깊이 있게 설명하지도 해석하지도 않습니다. 12신살의 종류를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일지를 기준으로 십이신살을 해석할 수 있다.예전에는 연지를 기준으로 보았으나, 연지는 일지를 놓고 볼 때 그렇고 연,월,시는 일지를 기준으로 놓고 신살을 정한다.십이신살은 삼합을 구분하여 정할 수 있다. 해묘미, 인오술.. 2025. 4. 19.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5편(사주 구성과 대운) 편 이번 도서는 합충의 변화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그리고 사주팔자를 구성하는 방향과 대운을 정하는 방향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1. 사주팔자를 정하는 구성 연주와 월주, 일주와 시주 4개의 주를 구성하는 기준을 설명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연주를 구하는 기준입니다.연주의 기준점은 2.4.(입춘)의 시각의 기준으로 한다.이런 기준점은 절기력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삼는데, 입춘을 시작이라고 보고 있다. 입춘은 인월을 나타내며, 입춘날, 입춘시가 바로 연주의 기준점이 되는 것이다. 입춘시간은 동경 135도를 기준에서, 우리나라는 30분을 추가해서 시간을 잡는다. 다음은 월주를 구하는 기준입니다.12개의 절기가 담당한다는 것만 파악하면 그 원리는 연주를 세우는 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입춘(인월), 경칩(묘월.. 2025. 4. 18.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4편(신살, 12운성) 이번 내용은 12신살에 대하여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우선 낭월 박주현 선생님은 신살에 대하여 신뢰도가 낮으며, 참고용으로만 보길 강조하십니다.그래서 신살에 대한 내용이 많이 설명되있지 않고, 아주 간략하게 적혀져 있습니다.도화살과 역마살 2가지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그리고 12운성에 대하여도 설명이 되어있는데, 주관적인 내용이 많아서 간략히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신살 (도화살, 역마살) 도화살 (해당 삼합의 첫자 다음에 오는 지지, 왕지)삼합의 개념을 먼저 알고있어야 됩니다. - 해묘미: 자(子) 水의 왕지 - 인오술: 묘(卯) 木의 왕지 - 사유축: 오(午) 火의 왕지 - 신자진: 유(酉) 金의 왕지 위의 삼합 중 생지(인, 사, 신, 해 / 첫 글자) 다음에 오는 지지의 글자가 도화살이 됩.. 2025. 4. 17.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3편(용신과 대운) 이번 시간은 신강과 신약을 구별하는 규칙을 통해 용신을 찾는 방법을 배우겠습니다. 용신을 찾을 때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 바로 억부용신입니다. 물론 왕초보 도서에 맞게 정말 간단하고 쉽게 용신을 찾는 방법을 가르쳐줍니다.정말, 참고만 하며 보기에 좋습니다. 억부용신법 억부용신은 일간을 기준으로 신강과 신약 유무를 찾아서 강하면 설기하고(식상, 관성과 재성으로 극한다)약하면 도와주는 기운(인성과 비겁)을 찾는 방법입니다. 그럼 사주 원국에서 일간이 약하고 강한 유무를 찾기 위해매우 간단하고 손쉬운 규칙을 낭월 박주현 선생님께서 가르쳐 주십니다. 이것을 절대 맹목적으로 믿으시면 안되며, 정말 초보자가 참고하기에 좋은 용도로만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월지를 얻으면 득령 (월지에 인, 비)일지를 얻으면 .. 2025. 4. 16.
낭월 박주현의 사주명리학 도서 공부 2편(오행의 음양과 지장간) 낭월 박주현님의 도서 4권을 읽었습니다. (적천수 1~3편도 있지만, 기초 과정을 모두 마치면 적천수를 들어가려 합니다) 그럼 이번에도 이어서 왕초보 명리학 내용을 시작 하겠습니다^^ 이번편은 12지지의 지장간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5행의 방국으로는 12지지를 나눠 보았습니다.북방: 해자축(亥, 子, 丑)남방: 사오미(巳, 午, 未)서방: 신유술(申, 酉, 戌)동방: 인묘진(寅, 卯, 辰)그럼 12지지에 대하여 지장간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매월 30일로 지장간의 각 비중을 하나의 규칙과도 같이 나눠져 있으니 외우시기 바랍니다. 인신사해 (7. 7. 16)자오묘유 (10. 20)진술축미 (9. 3. 18) 매월 30일 기준으로 각 지지속의 천간의 비중을 정합니다.그러면 정월(인월)부터 축월까지의 .. 2025. 4. 15.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1편(오행의 물상과 형상) 도서 간략 소개 사주 명리학의 가장 기본부터 쉽게 설명해놓은 책이다. 정말 완전 왕초보가 봐도 되게끔 내용이 쉽다. 단지 낭월 박주현님의 주관적인 생각이 담겨있는 내용이 많다.그래서 초보인 사람들은 명리학문의 정석을 배우고, 여러 학자들의 주관적 생각을 배우는 것이 좋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그럼 낭월 박주현님의 도서 1편 내용 정리를 시작하겠습니다. 오행이 갖는 형상의 정리 사주명리학은 오행으로 구성되어있다. 오행은 5가지 행으로, 목(木) / 화(火), / 토(土), / 금(金), / 수(水)로 나뉘어져 있다. 사주는 오행으로 이뤄진 10개의 천간과 12개의 지지의 구성으로 된 학문입니다. 그렇다면 오행의 특징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오행은 모두 자연의 형상과 인체의 기능 등 세상 만물의 모든.. 2025.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