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충변화2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7편(합의 종류와 상순과 선전) 이번장은 도서 표지에 맞는 합에 따른 화에 작용과 일지를 기준으로 순전과 선전에 대한 내용을 다루겠습니다. 합의 종류간합의 종류삼합의 종류와 이해방합의 종류와 이해육합의 종류와 이해암합합충의 정리 합을 방해하는 조건 두 글자의 사이에서 어느 한 쪽을 극하고 있을 때 합을 하고 있는데, 뒤에서 합하는 글자를 극하는 경우또는두 글자의 사이에서 서로 생해주도록 하는 글자가 있을 때에는합을 이루기가 힘들다. 화를 방해하는 조건천간에 합이 되었는데 지지에서 반대할 경우천간에서 합은 되었으나, 지지에 각자의 뿌리가 있을 때천간의 합을 방해하게 된다. 삼합 삼합은 부자손합이라고 아버지와 아들 손자가 결합된다는 의미다. 중요한 것은 생지, 왕지, 고지에서 왕지의 유무(자, 오, 묘, 유)다. 왕지가 있어야 .. 2025. 4. 20.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5편(사주 구성과 대운) 편 이번 도서는 합충의 변화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그리고 사주팔자를 구성하는 방향과 대운을 정하는 방향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1. 사주팔자를 정하는 구성 연주와 월주, 일주와 시주 4개의 주를 구성하는 기준을 설명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연주를 구하는 기준입니다.연주의 기준점은 2.4.(입춘)의 시각의 기준으로 한다.이런 기준점은 절기력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삼는데, 입춘을 시작이라고 보고 있다. 입춘은 인월을 나타내며, 입춘날, 입춘시가 바로 연주의 기준점이 되는 것이다. 입춘시간은 동경 135도를 기준에서, 우리나라는 30분을 추가해서 시간을 잡는다. 다음은 월주를 구하는 기준입니다.12개의 절기가 담당한다는 것만 파악하면 그 원리는 연주를 세우는 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입춘(인월), 경칩(묘월.. 2025. 4.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