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 도서(서평과 요약 정리)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3편(용신과 대운)

by 차니도사 2025. 4. 16.
반응형

 

 

 

 




 

 

이번 시간은 신강과 신약을 구별하는 규칙을 통해 용신을 찾는 방법을 배우겠습니다.

 

용신을 찾을 때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 바로 억부용신입니다. 

 

물론 왕초보 도서에 맞게 정말 간단하고 쉽게 용신을 찾는 방법을 가르쳐줍니다.

정말, 참고만 하며 보기에 좋습니다. 

 

억부용신법

 

억부용신은 일간을 기준으로 신강과 신약 유무를 찾아서 강하면 설기하고(식상, 관성과 재성으로 극한다)

약하면 도와주는 기운(인성과 비겁)을 찾는 방법입니다. 

 

그럼 사주 원국에서 일간이 약하고 강한 유무를 찾기 위해

매우 간단하고 손쉬운 규칙을 낭월 박주현 선생님께서 가르쳐 주십니다. 

 

이것을 절대 맹목적으로 믿으시면 안되며, 정말 초보자가 참고하기에 좋은 용도로만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


월지를 얻으면 득령  (월지에 인, 비)
일지를 얻으면 득지  (일지에 인, 비)
세력을 얻으면 득세  (인,비가 4자 이상)

(득령)월지:  0      0    0     x     0     x     x       x
(득지)일지:  0      x    0     0     x     x     0       x
(득세)세력:  0      0    x     0     x     0     x       x
                 최강   중   강  약강  약   약   중약   최약

위와 같이 월지와 일지, 세력을 얻었느냐의 여부에 따라 신강과 신약을 구분합니다.

그리고 신강하면 식,재,관을 용신으로 하고, 신약하면 인성과 비겁을 용신으로 합니다. 

 

사주의 80~90%는 억부용신으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병약용신법


용신을 깨뜨리는 것을 병이라고 하며 기신이라고 합니다.
기신을 제어하는 것을 약, 사주 원국에서 일지의 병을 제거하는 것도 약이라고 하며 병약법 용신이라고합니다.

 

전왕법

 

전왕법의 종류로는 종격, 화기격, 일행득기격, 양신성상격이 있습니다.

 

전왕법은 4번째 도서 용신 분석에서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운에 대한 개념(대운과 세운)


팔자가 몸이라면 대운은 옷이다.
팔자가 자동차라면 대운은 도로다.
사주 팔자를 공부하는 목적이 어쩌면 대운을 알기 위해서이다.
그만큼 운에 거는 기대가 크기 때문이다.

미리 예보를 듣고 길을 떠나기 위해서다.

대운은 월주를 기준으로
연간이 양남이고, 연간이 음녀이면 순행한다.
연간이 음남이고, 연간이 양녀이면 역행한다

대운은 공간이고 세운은 시간이다.
하루를 놓고 보면, 하루는 대운이고 시간은 세운이 된다.

결국 대운과 세운 모두 중요하지만 

세운은 모든 사람이 함께 공통적인 오행을 맞지만,

대운은 본인의 사주 원국에서 월주를 기준으로 모두 다르게 된다.

 

결국 대운이 용신으로 흐르냐, 기신으로 흐르냐에 따라 사주 구성의 좋고 나쁨을 정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