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억부용신2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9편(용신 분석, 억부-조후-병약-통관) 이번편은 본격적으로 용신을 찾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억부용신, 병약용신, 조후용신 3가지를 배우겠습니다. 억부용신 가장 먼저 용신을 찾기 위해서는 억부법을 대부분 사용합니다. 사주팔자에 있어 용신을 찾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분이 억부법입니다. 억부법이 사주 용신을 찾는 방법중 90%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억부법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배워보겠습니다. 억부법에 억은 누를 억(억)자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부는 도울 부(부)자를 사용합니다. 위의 뜻처럼 억부법에 있어 사주원국의 신강과 신약을 구분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일간의 기준으로 신강하면 억압하고, 신약하면 도와주는 강약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억압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재,관,인) 사용과 도우는 방법에 있어서도.. 2025. 4. 22.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3장) 일간의 강약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사주를 볼 때 가장 먼저 일간의 강약을 따지게 되는데, 이는 살아가면서 주관이 어느 정도인지가 중요한 데다 일간이 다른 7가지 간지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기운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사주에서는 일간이 너무 강한 것도 문제고, 너무 약하면 주관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너무 약한 것도 안 좋다고 봅니다. 물론 한 가지 기운으로 치우치면 종하는 것이 되어 흉함이 길함으로 바뀌는 사주가 있으나, 보통은 일간의 기운이 약간 강해야 합니다. 그런데 일간의 강약을 결정하는 데서 오행만으로 판단하는 법이 널리 퍼져서 목이 몇 개, 토가 몇 개라는 식으로 파악하여 일간이 강하다 약하다 하고 가르치고 있는데, 실은 일간의 강약 결정은 단순히 오행의 숫자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강하다 .. 2023. 7.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