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 도서(서평과 요약 정리)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9편(용신 분석, 억부-조후-병약-통관)

by 차니도사 2025. 4. 22.
반응형

 

 

 




 

 

이번편은 본격적으로 용신을 찾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억부용신, 병약용신, 조후용신 3가지를 배우겠습니다.

 

억부용신

 

가장 먼저 용신을 찾기 위해서는 억부법을 대부분 사용합니다.
사주팔자에 있어 용신을 찾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분이 억부법입니다.

억부법이 사주 용신을 찾는 방법중 90%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억부법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배워보겠습니다.
억부법에 억은 누를 억(억)자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부는 도울 부(부)자를 사용합니다. 위의 뜻처럼 억부법에 있어 사주원국의 신강과 신약을 구분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일간의 기준으로 신강하면 억압하고, 신약하면 도와주는 강약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억압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재,관,인) 사용과 도우는 방법에 있어서도 (인,비)의 사용이 다르게 되는 것입니다.

우선 사주의 강약을 찾는 것이 가장 우선이며, 강약을 찾는 방법을 세부적으로 분류 해 보았습니다.

 

(왕초보사주학)에서 배웠던 내용입니다.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3편(용신과 대운)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3편(용신과 대운)

이번 시간은 신강과 신약을 구별하는 규칙을 통해 용신을 찾는 방법을 배우겠습니다. 용신을 찾을 때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 바로 억부용신입니다. 물론 왕초보 도서에 맞게 정말 간단하고 쉽게

lucky7chan.com

 

 


사주 초급반에서 배운대로 자연의 이치를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주팔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계절의 월주가 되며, 천간 보다는 지지가 더욱 힘이 크게 작용합니다.

그래서 가장 먼저 월지가 인,비가 되면 득령이라고 합니다.
다음으로 중요하게 보는 것이 일간이 뿌리를 내릴 수 있는 일지가 인,비가 되면 득지라고 합니다.
그 다음으로 보는 것이 일간을 도와주는 인,비의 오행이 일간을 제외하고 3가지 이상이 되면 득세했다고 하지만,

이 역시 월령에서 도움을 받는지 여부가 중요하게 개입한다.

이때 지지의 오행 중 본기에 해당하는 것만을 따지도록 한다.

(지장간 까지 대입하면 너무 복잡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득령, 득지, 득세를 순서로 강약을 구분하는 방법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사주 원국의 예시를 대비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신강하다고 판단이 될 때 용신을 정하는 규칙과 같은 방법이다.

 

  • 사주원국에 인성이 많은 경우에는 재성을 용신으로 삼는 것이 좋다.
  • 비겁이 많은 경우에는 관살을 용신으로 삼는 것이 좋다.
  • 인성이 섞여 있어서 강한 경우에는 식상을 용신으로 삼는 것이 좋다.
  • 인성이 너무 지나치게 많은경우에는 인성을 용신으로 삼을 수도 있다.(종격)
  • 비겁이 진치게 많은 경우에는 비겁을 용신으로 삼을 수도 있다.(종격)

억부법에 신강과 신약이 있다면 다음으로는 중화된 사주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중화된 사주의 경우에는 신강하지도 신약하지도 않은 것으로 용신을 찾는 데  어려움을 느낄 때가 있다.
바로 이런 사주가 고급 사주가 된다.

극하는 것과 도와주는 것이 함께 상생하게 되어 어떠한 운이와도 크게 흔들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런 중화된 사주는 인간은 생에 부귀영화를 누리고 인간오복을 모두 구비하게 되는 것으로 해석한다.

 

조후용신

 

한난조습의 자연의 원리와 같이 가장 대표적으로 해석 하는 것이 겨울철 금(金)일간이오, 여름철 목(木)일간이다.

겨울철 금일간은 금수상관이다.

그래서 웬만큼 신약한 금(金)일간도 용신을 관살을 사용한다.

이때 겨울철 금일간이라도 화기가 많다면 조후법은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겨울철 금일간이라도 어느 정도 화기를 버틸 힘은 있어야 관살을 용신으로 삼게 된다.
마찬가지 예시로 금수상관이 조후를 필요하듯 목화상관도 조후를 필요로 한다.
여름의 나무가 별로 약하지 않아도, 인성인 수(水)를 용신으로 삼아야 하는 경우가 가끔 있다.
자연의 섭리대로 아무리 나무가 많아도 물이 없으면 생존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여름철 나무가 사주 전체에 수분이 미약한 경우라면 인성을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종류의 사주를 보게 나면 억부법의 용신이 전부가 아니란 것을 알게 된다.

조후법에 있어서도 한가지의 원칙이 있다면,

금수상관과 목화통명의 일간이 신약하지 않아햐 한다는 것이다.

 

병약용신

 

사주 원국에 병이 들었을 때,

일간을 극하는 오행(병)을 극하는 것을 용신으로 한다.

또는 사주 원국에 있는  용신을 극하는 오행을 극하는 오행을 희신으로 한다.

 

통관용신


마지막으로 용신 공부를 함에 있어 극히 드물지만 한번씩 보게 되는 것이 바로 통관 용신이다.

화일간이 화왕절에 태어나서 금의 세력과 다투고 있다면, 토가 용신이 되어 화생토, 토생금으로 조화되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