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왕초보사주학3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4편(신살, 12운성) 이번 내용은 12신살에 대하여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우선 낭월 박주현 선생님은 신살에 대하여 신뢰도가 낮으며, 참고용으로만 보길 강조하십니다.그래서 신살에 대한 내용이 많이 설명되있지 않고, 아주 간략하게 적혀져 있습니다.도화살과 역마살 2가지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그리고 12운성에 대하여도 설명이 되어있는데, 주관적인 내용이 많아서 간략히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신살 (도화살, 역마살) 도화살 (해당 삼합의 첫자 다음에 오는 지지, 왕지)삼합의 개념을 먼저 알고있어야 됩니다. - 해묘미: 자(子) 水의 왕지 - 인오술: 묘(卯) 木의 왕지 - 사유축: 오(午) 火의 왕지 - 신자진: 유(酉) 金의 왕지 위의 삼합 중 생지(인, 사, 신, 해 / 첫 글자) 다음에 오는 지지의 글자가 도화살이 됩.. 2025. 4. 17.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3편(용신과 대운) 이번 시간은 신강과 신약을 구별하는 규칙을 통해 용신을 찾는 방법을 배우겠습니다. 용신을 찾을 때 가장 많이 쓰는 방법이 바로 억부용신입니다. 물론 왕초보 도서에 맞게 정말 간단하고 쉽게 용신을 찾는 방법을 가르쳐줍니다.정말, 참고만 하며 보기에 좋습니다. 억부용신법 억부용신은 일간을 기준으로 신강과 신약 유무를 찾아서 강하면 설기하고(식상, 관성과 재성으로 극한다)약하면 도와주는 기운(인성과 비겁)을 찾는 방법입니다. 그럼 사주 원국에서 일간이 약하고 강한 유무를 찾기 위해매우 간단하고 손쉬운 규칙을 낭월 박주현 선생님께서 가르쳐 주십니다. 이것을 절대 맹목적으로 믿으시면 안되며, 정말 초보자가 참고하기에 좋은 용도로만 기억해주시기 바랍니다.월지를 얻으면 득령 (월지에 인, 비)일지를 얻으면 .. 2025. 4. 16.
낭월 박주현의 사주명리학 도서 공부 2편(오행의 음양과 지장간) 낭월 박주현님의 도서 4권을 읽었습니다. (적천수 1~3편도 있지만, 기초 과정을 모두 마치면 적천수를 들어가려 합니다) 그럼 이번에도 이어서 왕초보 명리학 내용을 시작 하겠습니다^^ 이번편은 12지지의 지장간에 대하여 살펴 보겠습니다.5행의 방국으로는 12지지를 나눠 보았습니다.북방: 해자축(亥, 子, 丑)남방: 사오미(巳, 午, 未)서방: 신유술(申, 酉, 戌)동방: 인묘진(寅, 卯, 辰)그럼 12지지에 대하여 지장간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매월 30일로 지장간의 각 비중을 하나의 규칙과도 같이 나눠져 있으니 외우시기 바랍니다. 인신사해 (7. 7. 16)자오묘유 (10. 20)진술축미 (9. 3. 18) 매월 30일 기준으로 각 지지속의 천간의 비중을 정합니다.그러면 정월(인월)부터 축월까지의 .. 2025. 4.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