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격2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12편(용신 세부 분석, 용신격) 낭월 박주현 선생님의 용신 분석 마지막 편입니다. 낭월 박주현 선생님의 용신 분석 마지막 내용을 다룹니다.다음에는 적천수 1~3편을 모두 읽고, 이어서 도서 서평과 요약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용신분석, 마지막 장 신약한 사주에 대하여 용신 분석을 나열해 보겠습니다. 앞서 신강한 사주에 인성과 비겁이 비슷하게 많다면 비겁이 많은 경우로 보는 것이 옳다.왜냐하면 인성은 비겁을 생하기에 결국 비겁의 기운이 강한것으로 보는 것이 맞기 때문이다. 사주 원국에 식상이 많은 경우는 상관용인격이라 한다. 식신이 많으면 그것을 상관으로도 본다. 상관은 천방지축으로 날뛰는 성분이다. 그런 식상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인성이다. 여기서 재성이 나타나는 것을 가장 꺼리게 된다. 식상이 재성을 생하고 재성은 인성을 .. 2025. 4. 25.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11편(세부적인 용신 구분, 용신격) 이번 장의 내용은 낭월 박주현님이 학문을 통하여 용신을 세부적으로 구별하는 방법입니다. 용신격에 대하여 배워 보겠습니다. 용신격용신론과 격국론을 합하여 만들어 진 것이 용신격인 것이다. 용신격은 오행생극제화의 상황 판단을 통하여 격을 이루는 것이다. 우선 용신을 찾는 실력을 가장 빠르게 갖추는 방법은1만 시간의 법칙과 같이 1000개의 사주를 풀어보며 심도 깊게 해석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그럼 신강한 사주들을 통하여 용신격을 정리해 보겠다. 사주중에 인성이 많은 경우 인중용재격 또는 기인취재격을 예로보겠다. 억부법의 형식으로 사주에 인성이 많으면, 인성을 극하는 재성을 용신으로 삼는 것이다.이때 용신이 바로 옆에 붙어 있을 경우 유정하다고 한다. 반대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무정하다고 한다. 용신은.. 2025. 4. 2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