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2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7장) 60갑자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신일, 을유일, 병술일, 정해일, 무자일, 기축일, 경인일, 신묘일, 임진일 계사일은 지지의 오, 미가 공망이 됩니다. 갑신일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신일은 일지 편관에 일간이 갑이라 총명하고 활동적이나, 성격이 급하고 싫증을 잘 내며 매사에 끝맺음을 잘 못하는 면이 다소 있습니다. 대인관계에 변화가 많고 배신과 실패를 경험하기 쉬우며, 고향을 떠나 살아갈 일주입니다. 다른 지지에 인과 사가 있으면 인,사,신 삼형살을 이루어서 의료업에 종사 할 수 있습니다. 을유일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을유일은 일지 편관의 공격을 받지만 유의 지장간 중 경금이 있으니 을경합의 기운도 있습니다. 성격이 정직하고 사심이 없으며 유순하지만 소심한 편입니다. 편관이 있어 일을 할 때 .. 2023. 7. 17.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6장) 60갑자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이번에는 갑술일, 을해일, 병자일, 정축일, 무인일, 기묘일, 경진일, 신사일, 임오일, 계미일로 지지 신유가 공망에 해당 하겠습니다. 갑술일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술 자체가 강력해 보이는 와중에 일지의 정기가 편재가 되니 소극적으로 살기보다는 적극적으로 살아가는 사람이며, 편재의 기질이 일간 갑에 영향을 주어서 사람 사귀기를 좋아하고 다소 나서는 면이 있어서 다른 사람을 도와주려는 기질이 강합니다. 일지 편재가 토에 있으니 다른 지지에 해가 있다면 종교나 미신에 관심을 둘수 있습니다. 을해일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을해일에 해는 정기가 임이므로 정인에 해당합니다. 성품이 조용하고 상상력이 뛰어나며 예지력을 타고난 데다 일지의 기질로 인해 사람을 가르치는 데서 능.. 2023. 7. 16.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5장) 60 갑자의 풀이와 성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60 갑자 중에서 처음 시작 시작되는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는 지지의 술해는 공망이 됩니다. 그리고 십간과 12 지지를 12번 돌면 모든 일주를 계속 돌게 되는 것입니다. 매일 60 갑자가 돌고, 월주도 60 갑자로 순환되며, 세운 또한 매년 60 갑자로 순환됩니다. 갑자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에 자가 있으므로 갑이 볼 때 지지의 자는 목욕에 해당합니다. 또 갑을 비견으로 볼 경우, 자는 십간 중에 계에 해당하므로 정인이 된다. 즉 지지에 목욕과 정인이 있으므로 갑의 나서는 기질과 정인의 봉사심이 결합하여 남의 위한 봉사에 앞장서는 성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지지가 목욕에 해당하므로 이성에 관심이 .. 2023. 7. 9.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4장) 일간에 따른 성격을 설명하겠습니다. 일간은 목화토금수로 되어 있어 목은 인, 화는 예, 토는 신, 금은 의, 수는 지로 되어 있어 인의예지신으로 성격을 판단하게 되어 있어서 각각의 강약에 따라 성격을 판단하게 되며 격과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더욱 쉽게 사람의 성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인의예지신의 오행을 십간별로 구분하여 파악하면 좀 더 자세한 부분까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갑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목은 양목이며 인에 해당하니 어질고 인자함이 주로 작용하게 되며 갑목은 양목이라 나서서 행하는 면이 있습니다. 너무 강하면 모든 10간도 그렇듯이 고집이 세고 속이 좁고 욕심이 많은 편에 남을 이해하기보다는 무시하는 기질이 있습니다. 이러한 마음이 잘 못되면 따르는 자 없이도 스스로 우두머리가 되고.. 2023. 7. 8.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3장) 일간의 강약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사주를 볼 때 가장 먼저 일간의 강약을 따지게 되는데, 이는 살아가면서 주관이 어느 정도인지가 중요한 데다 일간이 다른 7가지 간지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기운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사주에서는 일간이 너무 강한 것도 문제고, 너무 약하면 주관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너무 약한 것도 안 좋다고 봅니다. 물론 한 가지 기운으로 치우치면 종하는 것이 되어 흉함이 길함으로 바뀌는 사주가 있으나, 보통은 일간의 기운이 약간 강해야 합니다. 그런데 일간의 강약을 결정하는 데서 오행만으로 판단하는 법이 널리 퍼져서 목이 몇 개, 토가 몇 개라는 식으로 파악하여 일간이 강하다 약하다 하고 가르치고 있는데, 실은 일간의 강약 결정은 단순히 오행의 숫자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강하다 .. 2023. 7. 7.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2장) 편관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편관은 일간을 극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일간과 같은 것이며, 다른 말로 칠살이라고도 합니다. 남자의 경우 자식을 의미하며, 여자의 경우 정관이 없으면 남편으로 보고, 정관도 있고 편관도 있으면 정부나 애인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다 그런 것은 아닙니다. 편관은 기질이 강하고 거칠 뿐 아니라 저돌적인 면이 있어 식신 같이 쾌활하고 사람들과 잘 어울릴 수 있는 면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편관이 흉신이니 식신의 극을 요한다"는 말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름하여 '식신제살'이라 말합니다. 편관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편관은 거칠고 강한 면이 있기 때문에 일간이 강하고 편관이 강한 중에 식신의 극함이 없으면 사람이 아주 강하고 권력을 지향하는 편이라 운이 좋으면 군이나 검찰 .. 2023.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