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29

명리학 공부(입문편 18장) 겁재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양일간에 오행은 같으나 음양이 다른 것을 겁재라고 합니다. 일간과 오행은 같고 음양만 다르기 때문에 형제라고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성별이 다른 형제나 자매라고 보면 됩니다. 겁재의 성질상 일간이 약하면 도와주는 면이 강하고, 또 겁재가 적당하면 용감한 면이 있습니다. 물론 겁재가 너무 많거나 잘못되면 너무 자기 주관적이라 안하무인의 기질이 강하고 사람을 대할 때 교만한 면이 엿보일 수 있습니다. 사주에서 겁재를 흉성이라 하여 제어가 필요한 정관이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이치는 맞지만 무조건 흉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겁재가 흉함을 나타내면 동업자가 재산인 정재를 극하는 식이므로 동업은 금물입니다. 일간이 약한 달에 태어나 기운이 약할 때 겁재가 있으면 도움을 주니 살아가면.. 2023. 7. 1.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17장) 비견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비견은 일간과 같은 오행이면서 음양도 같기 때문에 사회생활에 응용한다면 어깨를 같이한다는 의미로 형제나 친구를 의미합니다. 어깨를 같이하고 길을 걸으면 동료나 형제가 같이 있으니 겁이 없고 자신감이 생기는 이치와 같아서 비견은 독립심이 강하고 능동적이며 승부욕이 강한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자기 고집이 지나치면 단체생활에 문제가 생기기 쉽듯이 비견이 너무 강하면 이러한 단점이 생기게 됩니다. 또 자립심이 강해 스스로 독립하고자 하는 마음이 강한 기질이라 월지에 비견이 있다면 자수성가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러나 독립하고자 하는 마음이 지나치면 사람들과 다툼이 자주 생기기 쉬우며,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 월지에 비견이 있거나 사주에 비견이 많아 강해지면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싫어.. 2023. 6. 30.
명리학 공부(입문편 16장) 통변성과 십간이 자연과학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통변성이란 십간십이지로 표현된 사주팔자를 사람에게 적용하여 풀이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사실 사주팔자란 특정한 날, 특정한 시점의 시간적 공간적 표현이므로 사람에게 적용할 정해진 규칙이 없었다. 즉 통변성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어 인생의 여러 가지 제반사를 파악하기 위한 새로운 규칙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통변성에는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등 열 가지가 있으며 일간을 비견으로 고정하여 둔 후 음양오행도의 규칙적인 흐름도에 맞추어 각각의 십간십이지에 통변성을 부여합니다. 목화토금수가 목은 갑을, 화는 병정, 토는 무기, 금은 경신, 수는 임계로 표현하며, 통변성 열 가지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 순서대로 비견, .. 2023. 6. 29.
명리학 공부(입문편 15장) 12 운성과 공망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2 운성이란 다른 말로 포태법이라 말하기도 하는 것으로, 천간의 간과 십이지지의 관계에서 어떤 간이 어떤 지를 만났을 때 강하게 되고 약하게 되는지를 판단하는 ㄷ 사용하는 도표입니다. 사주를 볼 때는 주로 일간만으로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서 12운을 적어나가니 12운이란 절,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를 말합니다. 12 운성과 가족과의 판단을 설명하겠습니다. 12 운성을 가지고 가족관계를 판단하는 법이 있으나, 이는 실제로 검증하기도 힘들뿐더러 맞지 않은 부분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통변성 정재에 목욕이 동주하면 부인이 미인이거나 바람기가 있다는 말이나 정관이 장생이면 남편이 상당히 발전한다는 식의 논리는 용신과 비교도 하.. 2023.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