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은 신살과 12운성, 그리고 공망에 대하여 나옵니다.
앞전 4편에서 신살과 12운성을 간략히 설명했는데, 이번에는 12운성에 내용까지 설명해줍니다.
물론 간략하게 참고만 할 정도로 읽어보면 좋겠습니다.
신살으 종류와 해석
(神)신은 좋은 작용을 하는 것이고
(殺)살은 나쁜 작용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글신과 흉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낭월 박주현 선생님은 십이신살은 참고만 하기 바라며, 깊이 있게 설명하지도 해석하지도 않습니다.
12신살의 종류를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일지를 기준으로 십이신살을 해석할 수 있다.
예전에는 연지를 기준으로 보았으나, 연지는 일지를 놓고 볼 때 그렇고 연,월,시는 일지를 기준으로 놓고 신살을 정한다.
십이신살은 삼합을 구분하여 정할 수 있다.
해묘미, 인오술, 사유축, 신자진 으로 나누어서 각 삼합에 따라 지지에서 십이신살을 추려낸다.
- 지살: 쓸데없이 돌아다닌다.
- 장성살: 주체성이 강하여 남의 마를 무시한다.
- 화개살: 귀인의 도움을 받고 종교성이 강하다.
- 역마살: 정처없이 떠돌아다닌다.
- 재살: 일생 동안 재앙이 속출한다.
- 월살: 접신자가 되거나 고초가 많다.
- 도화살: 색정 사건을 일으키고 인기가 많다.
- 반안살: 장식을 잘한다. 꾸미기를 잘한다. 말안장살이라고 한다.
- 겁살: 겁탈을 당한다.
- 천살: 하늘을 보고 눈물을 흘린다. 하늘이 내른 천재지변
- 망신살: 망신당하고 체면이 상한다. 예기치 못한 봉ㅂ녀을 당하고 망신살이 뻗치는 경우가 있다. 욕심을 내다가 체면이 사하는 경우가 많다.
- 육해살: 가족간에 불화가 있다
- 원진살: 서로 미워하고 원망하는 살이다.
- 고신과 과숙살: 고신은 홀아비가 되고 과숙은 청상과부가 된다는 의미이다.
방합을 기준으로 고신은 뒤에 오는 지지, 과숙은 이전의 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백호살
무진, 정축, 병술, 을미, 갑진, 계축, 임술이 백호살이다.
백호살은 호랑이에게 물린다는 의미로 사고, 수술, 피흘리는 살이라고 본다.
백호대살 (뜻, 간지, 성격, 직업)
오늘부터 차니도사의 명리학 신살 공부를 하겠습니다. 2024년 甲辰년 백호대살에 해가 옵니다. 하여 오늘 백호 대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백호대살이라 하면 흉폭한 느낌이 들지 않나요? 사
lucky7chan.com
삼재살
삼합을 기준으로, 생지와 충하는 지지의 오행의 방합(3년간)기간 삼재로 본다.
복삼재, 악삼재라고 구분한다.
괴강살
임진, 경진, 경술, 무술 등이 있다. 대단한 파워로 자신도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무섭게 돌진하는 성격을 띄고 있다.
괴강살 (뜻, 구성, 직업 특성)
오늘은 괴강살에 대하여 배워보겠습니다. 백호대살, 괴강살, 양인살 모두 강력한 살이며, 그중에서 괴강살의 장단점과 특성, 구성을 알아보겠습니다. 1. 괴강의 뜻 2. 괴강의 구성 3. 괴강의 특성
lucky7chan.com
탕화살
끓는 물이나 불을 뒤집어 쓴다고 하여 화상을 조심해야 한다.
일지가 인목일 경우 인사신이 다른 지지에 있으면 해당 된다.
일지가 오화일 경우 진오축이 다른 지지에 있으면 해당 된다.
일지가 축토일 경우 오술미가 다른 지지에 있으면 해당 된다.
십악대패살
갑진, 을사, 임신, 병신, 정해, 경진, 무술, 신사, 계해, 기축이 해당 된다.
이는 되는것이 하나도 없을 만큼 안좋은 흉살로 본다.
상문살, 조객살
상문살은 초상날 일이 많은 살이고
조객살은 초상집에 문상갈 일이 많다는 살이다.
구성을 살펴보면 상문살과 비슷하며 상문살에서 주객이 바뀌기만 하면 된다.
연, 일지 기준
상문살: 자인, 축묘, 인진, 묘사, 진오, 사미, 오신, 미유, 신술, 유해, 술자, 해축,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신살편에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십이운성
십이운성은 신살이 아니다. 그래도 공부해 보겠다.
록, 왕, 쇠,
병, 사, 묘
절,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방법은 양일간의 록은 순행하고
음일간은 록은 역행 한다.
<4편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외우면 쉽게 암기 할 수 있다. 그러나 음일간은 약간의 오류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장생: 탄생이다
목욕: 탄생후 목욕을 하는 것이다.
관대: 머리에 관을 쓰고 허리띠를 졸라맨다는 뜻으로 성인이 되는 것이다.
건록: 30대 정도의 시기로 자신이 타고난 일을 한참 열심히 하는 시기다.
제왕: 인생에 있어 가장 왕성한 시기다.
쇠: 50대 삶으로 힘이 빠지고 건강도 약해지는 시기다.
병: 늙어서 고통을 느끼는 것이다.
사: 죽음이라는 종말을 맞는다.
궁(묘): 무덤으로 돌아가야 완전한 휴식의 시작이라고 본다.
절: 모든 것과의 단절을 의미한다.
태: 모태를 말하는 것으로 윤회를 말한다.
양: 10달동안 어머니 뱃속에서 자라는 상태를 말한다.
공망
공망이 발생하는 것은 육십갑자의 표에서 10개의 간지 이후에 남은 2개의 지지를 공망으로 본다.
-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 : 공망은 (술해)
-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 : 공망은 (신유)
- 갑신, 을유, 병술, 정해, 무자, 기축, 경인, 신묘, 임진, 계사 : 공망은 (오미)
- 갑오, 을미, 병신, 정유, 무술, 기해, 경자, 신축, 임인, 계묘 : 공망은 (진사)
- 갑진, 을사, 병오, 정미, 무신, 기유, 경술, 신해, 임자, 계축 : 공망은 (인묘)
-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 : 공망은 (자축)
이렇게 공망이 생기며, 공망은 비어있다, 공허하다는 뜻으로 작용한다.
'명리학 도서(서평과 요약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5편(사주 구성과 대운) (0) | 2025.04.18 |
---|---|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4편(신살, 12운성) (0) | 2025.04.17 |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3편(용신과 대운) (0) | 2025.04.16 |
낭월 박주현의 사주명리학 도서 공부 2편(오행의 음양과 지장간) (0) | 2025.04.15 |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1편(오행의 물상과 형상)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