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 도서(서평과 요약 정리)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7편(합의 종류와 상순과 선전)

by 차니도사 2025. 4. 20.
반응형

 

 

 



 



이번장은 도서 표지에 맞는 합에 따른 화에 작용과 일지를 기준으로 순전과 선전에 대한 내용을 다루겠습니다. 

 

합의 종류
  • 간합의 종류
  • 삼합의 종류와 이해
  • 방합의 종류와 이해
  • 육합의 종류와 이해
  • 암합
  • 합충의 정리

 

천간 합

 

합을 방해하는 조건

 

두 글자의 사이에서 어느 한 쪽을 극하고 있을 때

 

합을 하고 있는데, 뒤에서 합하는 글자를 극하는 경우

또는
두 글자의 사이에서 서로 생해주도록 하는 글자가 있을 때에는

합을 이루기가 힘들다.

 

 

화를 방해하는 조건

천간에 합이 되었는데 지지에서 반대할 경우
천간에서 합은 되었으나, 지지에 각자의 뿌리가 있을 때

천간의 합을 방해하게 된다.

 

 

 

 



삼합

 

삼합은 부자손합이라고 아버지와 아들 손자가 결합된다는 의미다.

삼합의 생지와 왕지 고지를 설명한다.



중요한 것은 생지, 왕지, 고지에서 왕지의 유무(자, 오, 묘, 유)다.
왕지가 있어야 하며, 특히 월지에 왕지가 있으면 진정한 삼합이라고 한다.

생지는 왕지를 생해주고, 왕지는 자신의 기운을 펼쳐내고 고지에서 쉬는 것이다.

 

방합


방합은 화학 반응이 없니 방위의 합이다.
동서남북의 의미로 친구끼리 세력의 합이다. 

 

육합

 

육합은 위도의 합으로 본다.
예)
자축 = 토 , 인해 = 목 / 묘술 = 화 / 진유 = 금 / 사신 = 수 / 오미 = 무

암합


암합이 성립하는 관계
천간과 지지의(지장간 중에 합) 암합으로
정해, 무자, 신사, 임오가 있다.
지지의 암합으로는 자술, 축이, 묘신, 오해, 인미가 있다.

 


사주 감정을 할 때, 명심할 것은

명리학자는 언제든 질문을 할 수 있다. 학자인 것이다.
의사도 환자를 보자마자 어디가 어떻게 아파 왔구먼 하는 의사는 없다.
진찰을 통하여 진단을 하는 것이다.

상순과 선전


상순은 일주를 기준으로 해서 간지의 좌우 배합을 따져서 같이 흘러가면 접착력이 더욱 좋아진다고 하여 상순이 된다.
순서의 전개 방향은 왼쪽이든 오른쪽이든 상관하지 않는다.

선전은 달팽처럼 꼬이는 것을 말한다.

사주팔자에 좌우의 간지가 서로 선전이 되면 혼란이 발생한다.

우연인지는 몰라도 실제로 정신병 환자 중에 이런 형태의 사주인 사람이 많다.

 

선전의 예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