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15 명리학 공부(입문편 14장) 도화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인오술일 출생은 묘가 도화며, 신자진일 출생은 유가 도화며, 사유축일 출생은 오가 도화며, 해묘미일 출생은 자가 도화이다. 이를 자세히 보면 지지 삼합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도화는 자오묘유를 말하는 것입니다. 보통 도화는 일지를 기준으로 판단하나 연지를 기준으로 참고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주에 자오묘유가 모두 있으면 편야도화라는 말도 여기에서 나온 유래입니다. 이 살이 있는 사람은 감성이 풍부하고 잘생긴 경우가 많아서 남녀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다고 하여 도화살이 있다고 하는 것이나, 도화가 사주에 있어도 잘생기지 않은 사람도 있고, 방탕과는 거리가 먼 성직자로 살아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주를 일간과의 관계도 보지 않고 살만으로 판단한다면 해석에 있어 .. 2023. 6. 27.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11장) 일간과 지지충에 따른 건강문제를 설명합니다. 지지에 충이 있으면 그충을 가지고 그대로 어디가 아프다고 말할 수도 있으나, 사실 지지의 충이나 대운과 세운의 충만 따져서는 정밀한 판단을 하기 어렵습니다. 같은 충이어도 일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거나 더욱 정확해지니 지지충이 원인이 되어 오는 질병을 검토하여 일간에 따라 장기의 특성과 연관하여 검토해야 합니다. 자오충이라 해도 일간이 병, 정, 갑, 무일 경우에는 다뇨증세보다는 신경성 질병이 생길 여지가 있으며, 일간이 경, 신, 임, 계 일 때는 다뇨증세가 심해지는 문제로 변해가니 같은 충이라도 일간을 자세히 검토해야 합니다. 갑, 을 일간의 건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은 담낭에 해당하므로 묘유충, 축미충, 진술충의 작용이 강해지며, 자오충이 오면 신.. 2023. 6. 24. 명리학의 공부(입문편 9장) 지지의 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지지충은 사주명리학에서 아주 중요한 것으로, 바로 인근 한 충은 중요하지만 건너서 있는 충은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대운이나 ㅔ운에서 오는 충도 상당히 중요한 편입니다. 일지에 충이 있거나 대운이나 세운에서 충이 오면 가정사에 변화가 심해지거나 일신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충마다 작용이 약간 다르나 건강에 장애가 생기기 쉽습니다. 자오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자는 방광을 의미하고 오는 소장을 의미하니 자오가 충을 이루면 방광과 소장에 문제가 생기기 쉬워 다뇨증으로 고생하거나 소장에 탈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화는 되어도 아랫배가 찬 경우가 많은 탓에 설사를 자주 하게 됩니다. 일지를 기준으로 자와 오가 충하면 머리는 좋으나 과민하여 신경이 예민해지는.. 2023. 6. 23. 명리학의 공부(명리학 입문편 8장) 간합(을경합)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을과 경은 합하여 금이 되니 을목을 경이 극하지 않으며 을은 경의 힘을 도와줍니다. 또 금이 인의예지신의 의라 의가 강해지며, 을은 목이라 인이므로 인과 의의 합이라 하여 인의지합이라 합니다. 이 합이 있으면 금 기운이 강해지고 외로움을 중시하는 지라 괴감한 면에 강직한 기상이 있으며, 사람들에 대한 인의가 아주 좋은 편입니다. 또한 일간을 기준으로 이합을 이루면 경금이 강해지는데, 경금은 뼈와 같은 것이라 뼈대가 튼튼하여 치아가 튼튼하고 턱이 사각 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뼈가 강하고 인의가 강한 탓에 기운이 왕성하고 불의에 굴복하지 않아 항상 의로운 편에 서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인관계가 넓고 기운이 왕성한 탓에 이성으로부터 인기도 좋은 편입니다. 그러나 잘못 구서오.. 2023. 6. 23.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