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마살3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4편(신살, 12운성) 이번 내용은 12신살에 대하여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우선 낭월 박주현 선생님은 신살에 대하여 신뢰도가 낮으며, 참고용으로만 보길 강조하십니다.그래서 신살에 대한 내용이 많이 설명되있지 않고, 아주 간략하게 적혀져 있습니다.도화살과 역마살 2가지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그리고 12운성에 대하여도 설명이 되어있는데, 주관적인 내용이 많아서 간략히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신살 (도화살, 역마살) 도화살 (해당 삼합의 첫자 다음에 오는 지지, 왕지)삼합의 개념을 먼저 알고있어야 됩니다. - 해묘미: 자(子) 水의 왕지 - 인오술: 묘(卯) 木의 왕지 - 사유축: 오(午) 火의 왕지 - 신자진: 유(酉) 金의 왕지 위의 삼합 중 생지(인, 사, 신, 해 / 첫 글자) 다음에 오는 지지의 글자가 도화살이 됩.. 2025. 4. 17.
역마살(뜻, 구성, 특성, 직업) 오늘은 역마살에 대하여 배워보겠습니다. 역마살, 지살 모두 이동을 나타내는 살입니다. 그중에서오늘은 역마살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역마살의 뜻 2. 역마살의 구성 3. 역마살의 특성 1. 역마의 뜻 역마(驛馬)의 한자 뜻으로는 역 정거장 (驛) 마 말 (馬) 옛날에는 교통 수단으로 말을 이용하였습니다. 그래서 역에서 운송 수단이였던 말들을 일컬어 정거장에 있는 말(역마 驛馬 )로 한곳에 정착하지 못하고 여러 역을 떠돌아 다녔기에 비유된 단어입니다. 뜻에서 알수 있듯이 역참에 둔 말인 역마(驛馬)는 직업과 장소를 계속 이동하여 떠돌아 다닌다는 뜻입니다. (흔히 '이동수'가 들어 왔다고 표현합니다.) 2. 역마의 구성 역마살의 글자들은 12지지 중 총 4개의 지지를 역마살이라고 한다. 인(寅), 신.. 2023. 12. 22.
명리학 공부(입문편 14장) 도화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인오술일 출생은 묘가 도화며, 신자진일 출생은 유가 도화며, 사유축일 출생은 오가 도화며, 해묘미일 출생은 자가 도화이다. 이를 자세히 보면 지지 삼합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도화는 자오묘유를 말하는 것입니다. 보통 도화는 일지를 기준으로 판단하나 연지를 기준으로 참고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주에 자오묘유가 모두 있으면 편야도화라는 말도 여기에서 나온 유래입니다. 이 살이 있는 사람은 감성이 풍부하고 잘생긴 경우가 많아서 남녀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다고 하여 도화살이 있다고 하는 것이나, 도화가 사주에 있어도 잘생기지 않은 사람도 있고, 방탕과는 거리가 먼 성직자로 살아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주를 일간과의 관계도 보지 않고 살만으로 판단한다면 해석에 있어 .. 2023.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