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 도서(서평과 요약 정리)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10편(특수격, 종격과 화격)

by 차니도사 2025. 4. 23.
반응형



 

이번 장에서는 특수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특수격으로 전왕법 중 종격과 화격이 있는데, 

이는 특수한 경우에 형성되는 격으로써 크게 비중을 두고 공부하지는 않습니다.

그럼 특수격에 대하여 배우겠습니다.


사주팔자가 한 가지의 오행으로 몰려 있는 경우를 우리는 외격이라고 부른다.
사주의 대부분은 웬만하면 정격이라고 하지만,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진다면 전왕법으로 해석하는 것이 잘맞는 경우가 있다.

 

1. 전왕법


우선 전왕법에 있어 종격을 먼저 설명하겠다.

종격은 세력을 따른다는 의미로 5가지로 구분이 된다.
나와 같은 세력이 많아서 비겁의 오행으로 종하는 것은 종왕격이 된다.

이것을 흔히 일행득기격이 된다.

 

  • 인성으로만 이루어진 사주를 종강격이라고 한다.
  • 식상으로만 이루어진 경우를 종아격이라고 한다.
  • 재성으로만 이루어진 경우를 종재격이라고 한다.
  • 관살로만 이루어진 경우를 종살격이라고 한다.

예)

 

이번 사주는 종격(종왕격)으로 수(水)로 모든 오행이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윤하격이라고 할 수 있다. 

 

수를 거스르는 토(土)와 화(禾)가 없으니, 완벽한 윤하격이 된다.

2. 화격


화격은 종격과 비슷하지만, 격을 이루기 위한 조건이 3가지가 있다.

 

  • 1번. 일간이, 월간 또는 시간의 오행과 합을 하게 된다.
  • 2번. 다른 천간과 지지가 전체가 화 하는 오행일 것이다.
  • 3번. 화기를 깨트리는 오행이 없어야 한다.

예)

 

이런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화격이 된다.

 

갑-기 합 토(土)가 되었고, 

월지에 화 한 오행인 술(土)가 있으며, 대부분이 화하는 토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화 하는 오행의 (土)를 극하는 목(木)이 없기에

화격이 깨끗하게 구성되었다고 볼수 있다.

 


외격 중에 종격과 화격을 볼 때 도사가 아니고서는

항상 먼저 정격의 유무를 확인하고 풀이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격의 용신과, 종격과 화격의 용신은 다르기에

지난 세운에 따른 성패를 확인해보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명리학자가 점쟁이가 아니기에, 모든 것을 맞추기를 원한다면 점집을 소개해주는 것이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