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낭월9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11편(세부적인 용신 구분, 용신격) 이번 장의 내용은 낭월 박주현님이 학문을 통하여 용신을 세부적으로 구별하는 방법입니다. 용신격에 대하여 배워 보겠습니다. 용신격용신론과 격국론을 합하여 만들어 진 것이 용신격인 것이다. 용신격은 오행생극제화의 상황 판단을 통하여 격을 이루는 것이다. 우선 용신을 찾는 실력을 가장 빠르게 갖추는 방법은1만 시간의 법칙과 같이 1000개의 사주를 풀어보며 심도 깊게 해석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그럼 신강한 사주들을 통하여 용신격을 정리해 보겠다. 사주중에 인성이 많은 경우 인중용재격 또는 기인취재격을 예로보겠다. 억부법의 형식으로 사주에 인성이 많으면, 인성을 극하는 재성을 용신으로 삼는 것이다.이때 용신이 바로 옆에 붙어 있을 경우 유정하다고 한다. 반대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무정하다고 한다. 용신은.. 2025. 4. 24.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10편(특수격, 종격과 화격) 이번 장에서는 특수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특수격으로 전왕법 중 종격과 화격이 있는데, 이는 특수한 경우에 형성되는 격으로써 크게 비중을 두고 공부하지는 않습니다.그럼 특수격에 대하여 배우겠습니다.사주팔자가 한 가지의 오행으로 몰려 있는 경우를 우리는 외격이라고 부른다. 사주의 대부분은 웬만하면 정격이라고 하지만,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진다면 전왕법으로 해석하는 것이 잘맞는 경우가 있다. 1. 전왕법우선 전왕법에 있어 종격을 먼저 설명하겠다. 종격은 세력을 따른다는 의미로 5가지로 구분이 된다.나와 같은 세력이 많아서 비겁의 오행으로 종하는 것은 종왕격이 된다.이것을 흔히 일행득기격이 된다. 인성으로만 이루어진 사주를 종강격이라고 한다.식상으로만 이루어진 경우를 종아격이라고 한다.재성으로만 이루어.. 2025. 4. 23.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8편(용신의 정의) 이번 도서는 용신에 관한 내용으로, 사례수록, 통변의 내용까지 다양하게 있습니다. 용신을 배울수 있는 좋은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용신이 무엇이고, 어떻게 활용되고 왜 중요한지 등 정의를 배워보겠습니다. 1. 용신의 정의의미. 용(用)쓸용 으로, 사주팔자 원국에 있어서 사용해야 되는 글자이다. 용신을 찾는 것이 어려운 수학 문제의 공식을 배우는 것과 같다. 알맞은 공식을 대입해야지 올바른 방향과 해답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2. 용신이 필요한 이유사주 원국에 남명의 용신이 관살이거나 재성이 된다면, 그 사주는 직업(자녀)운과 재물(처,아내)운이 좋아서, 좋은 자녀와 아내를 얻거나, 삶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반면 용신의 힘이 약하거나, 병이 들었다면 그로 인해 힘든 삶을 격지만 그.. 2025. 4. 21.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6편(신살, 12운성, 공망) 2장은 신살과 12운성, 그리고 공망에 대하여 나옵니다. 앞전 4편에서 신살과 12운성을 간략히 설명했는데, 이번에는 12운성에 내용까지 설명해줍니다.물론 간략하게 참고만 할 정도로 읽어보면 좋겠습니다. 신살으 종류와 해석(神)신은 좋은 작용을 하는 것이고 (殺)살은 나쁜 작용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그래서 글신과 흉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낭월 박주현 선생님은 십이신살은 참고만 하기 바라며, 깊이 있게 설명하지도 해석하지도 않습니다. 12신살의 종류를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일지를 기준으로 십이신살을 해석할 수 있다.예전에는 연지를 기준으로 보았으나, 연지는 일지를 놓고 볼 때 그렇고 연,월,시는 일지를 기준으로 놓고 신살을 정한다.십이신살은 삼합을 구분하여 정할 수 있다. 해묘미, 인오술.. 2025. 4. 19.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5편(사주 구성과 대운) 편 이번 도서는 합충의 변화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그리고 사주팔자를 구성하는 방향과 대운을 정하는 방향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1. 사주팔자를 정하는 구성 연주와 월주, 일주와 시주 4개의 주를 구성하는 기준을 설명하겠습니다. 가장 먼저 연주를 구하는 기준입니다.연주의 기준점은 2.4.(입춘)의 시각의 기준으로 한다.이런 기준점은 절기력이 시작되는 시점으로 삼는데, 입춘을 시작이라고 보고 있다. 입춘은 인월을 나타내며, 입춘날, 입춘시가 바로 연주의 기준점이 되는 것이다. 입춘시간은 동경 135도를 기준에서, 우리나라는 30분을 추가해서 시간을 잡는다. 다음은 월주를 구하는 기준입니다.12개의 절기가 담당한다는 것만 파악하면 그 원리는 연주를 세우는 것과 완전히 동일하다. 입춘(인월), 경칩(묘월.. 2025. 4. 18.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4편(신살, 12운성) 이번 내용은 12신살에 대하여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우선 낭월 박주현 선생님은 신살에 대하여 신뢰도가 낮으며, 참고용으로만 보길 강조하십니다.그래서 신살에 대한 내용이 많이 설명되있지 않고, 아주 간략하게 적혀져 있습니다.도화살과 역마살 2가지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그리고 12운성에 대하여도 설명이 되어있는데, 주관적인 내용이 많아서 간략히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신살 (도화살, 역마살) 도화살 (해당 삼합의 첫자 다음에 오는 지지, 왕지)삼합의 개념을 먼저 알고있어야 됩니다. - 해묘미: 자(子) 水의 왕지 - 인오술: 묘(卯) 木의 왕지 - 사유축: 오(午) 火의 왕지 - 신자진: 유(酉) 金의 왕지 위의 삼합 중 생지(인, 사, 신, 해 / 첫 글자) 다음에 오는 지지의 글자가 도화살이 됩.. 2025.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