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4편(신살, 12운성)
이번 내용은 12신살에 대하여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우선 낭월 박주현 선생님은 신살에 대하여 신뢰도가 낮으며, 참고용으로만 보길 강조하십니다.그래서 신살에 대한 내용이 많이 설명되있지 않고, 아주 간략하게 적혀져 있습니다.도화살과 역마살 2가지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그리고 12운성에 대하여도 설명이 되어있는데, 주관적인 내용이 많아서 간략히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신살 (도화살, 역마살) 도화살 (해당 삼합의 첫자 다음에 오는 지지, 왕지)삼합의 개념을 먼저 알고있어야 됩니다. - 해묘미: 자(子) 水의 왕지 - 인오술: 묘(卯) 木의 왕지 - 사유축: 오(午) 火의 왕지 - 신자진: 유(酉) 金의 왕지 위의 삼합 중 생지(인, 사, 신, 해 / 첫 글자) 다음에 오는 지지의 글자가 도화살이 됩..
2025. 4. 17.
명리학 공부(입문편 15장)
12 운성과 공망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2 운성이란 다른 말로 포태법이라 말하기도 하는 것으로, 천간의 간과 십이지지의 관계에서 어떤 간이 어떤 지를 만났을 때 강하게 되고 약하게 되는지를 판단하는 ㄷ 사용하는 도표입니다. 사주를 볼 때는 주로 일간만으로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서 12운을 적어나가니 12운이란 절,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를 말합니다. 12 운성과 가족과의 판단을 설명하겠습니다. 12 운성을 가지고 가족관계를 판단하는 법이 있으나, 이는 실제로 검증하기도 힘들뿐더러 맞지 않은 부분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통변성 정재에 목욕이 동주하면 부인이 미인이거나 바람기가 있다는 말이나 정관이 장생이면 남편이 상당히 발전한다는 식의 논리는 용신과 비교도 하..
2023.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