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2운성4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6편(신살, 12운성, 공망) 2장은 신살과 12운성, 그리고 공망에 대하여 나옵니다. 앞전 4편에서 신살과 12운성을 간략히 설명했는데, 이번에는 12운성에 내용까지 설명해줍니다.물론 간략하게 참고만 할 정도로 읽어보면 좋겠습니다. 신살으 종류와 해석(神)신은 좋은 작용을 하는 것이고 (殺)살은 나쁜 작용을 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그래서 글신과 흉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낭월 박주현 선생님은 십이신살은 참고만 하기 바라며, 깊이 있게 설명하지도 해석하지도 않습니다. 12신살의 종류를 간략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일지를 기준으로 십이신살을 해석할 수 있다.예전에는 연지를 기준으로 보았으나, 연지는 일지를 놓고 볼 때 그렇고 연,월,시는 일지를 기준으로 놓고 신살을 정한다.십이신살은 삼합을 구분하여 정할 수 있다. 해묘미, 인오술.. 2025. 4. 19.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4편(신살, 12운성) 이번 내용은 12신살에 대하여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우선 낭월 박주현 선생님은 신살에 대하여 신뢰도가 낮으며, 참고용으로만 보길 강조하십니다.그래서 신살에 대한 내용이 많이 설명되있지 않고, 아주 간략하게 적혀져 있습니다.도화살과 역마살 2가지만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그리고 12운성에 대하여도 설명이 되어있는데, 주관적인 내용이 많아서 간략히 작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신살 (도화살, 역마살) 도화살 (해당 삼합의 첫자 다음에 오는 지지, 왕지)삼합의 개념을 먼저 알고있어야 됩니다. - 해묘미: 자(子) 水의 왕지 - 인오술: 묘(卯) 木의 왕지 - 사유축: 오(午) 火의 왕지 - 신자진: 유(酉) 金의 왕지 위의 삼합 중 생지(인, 사, 신, 해 / 첫 글자) 다음에 오는 지지의 글자가 도화살이 됩.. 2025. 4. 17.
명리학 공부(입문편 15장) 12 운성과 공망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2 운성이란 다른 말로 포태법이라 말하기도 하는 것으로, 천간의 간과 십이지지의 관계에서 어떤 간이 어떤 지를 만났을 때 강하게 되고 약하게 되는지를 판단하는 ㄷ 사용하는 도표입니다. 사주를 볼 때는 주로 일간만으로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서 12운을 적어나가니 12운이란 절,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를 말합니다. 12 운성과 가족과의 판단을 설명하겠습니다. 12 운성을 가지고 가족관계를 판단하는 법이 있으나, 이는 실제로 검증하기도 힘들뿐더러 맞지 않은 부분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통변성 정재에 목욕이 동주하면 부인이 미인이거나 바람기가 있다는 말이나 정관이 장생이면 남편이 상당히 발전한다는 식의 논리는 용신과 비교도 하.. 2023. 6. 28.
명리학 공부(입문편 14장) 도화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인오술일 출생은 묘가 도화며, 신자진일 출생은 유가 도화며, 사유축일 출생은 오가 도화며, 해묘미일 출생은 자가 도화이다. 이를 자세히 보면 지지 삼합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도화는 자오묘유를 말하는 것입니다. 보통 도화는 일지를 기준으로 판단하나 연지를 기준으로 참고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주에 자오묘유가 모두 있으면 편야도화라는 말도 여기에서 나온 유래입니다. 이 살이 있는 사람은 감성이 풍부하고 잘생긴 경우가 많아서 남녀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다고 하여 도화살이 있다고 하는 것이나, 도화가 사주에 있어도 잘생기지 않은 사람도 있고, 방탕과는 거리가 먼 성직자로 살아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주를 일간과의 관계도 보지 않고 살만으로 판단한다면 해석에 있어 .. 2023.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