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의 입문편

명리학의 공부(명리학 입문편 2장)

by 차니도사 2023. 6. 21.
반응형


오행의 상생극도를 설명합니다.


목이 화를 생하고, 화가 토를 생하고, 토는 금을 생하고, 금은 수를 생하고, 수는 또 목을 다시 생하는 이치를 오행의 상생이라고 합니다. 바로 앞의 오행은 생하나 반대로 하나 건너 앞에 있는 오행은 극합니다. 목은 토를 극하고, 화는 금을 극하고, 토는 수를 극하고 금은 목을 극하고, 수는 화를 극합니다. 그러나 이 이론은 태양을 기준으로 움직인다는 점 때문에 목화토금수의 행성배치도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태양과 달을 가미한 음양오행 이론이 아니라 자연과학적인 천체의 원리를 그대로 오행의 원리로 반영한 것입니다. 이 오 행도에 태양과 달을 가미하면 상당히 많은 변화를 이루게 되므로 음양오행 이론은 태양계 행성 변화의 관측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음양오행 이론은 오행도의 ㅇ론과 맞지 않는 부분이 상당히 많아 예외적인 공식이 적용되므로 오행도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경솔함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의 그림은 오행이론일 뿐 음양오행 이론이 아닙니다. 음양오행 이론이란 각 오행을 음양으로 표현한 십간으로 변화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오행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다 보면 예외적인 경우가 상당히 많이 생깁니다. 예를 들어 목이 모든 토를 극하는 것이 아니고, 화도 모든 금을 극하는 것이 아니다. 각각에는 극 속에 합이 있고, 생 속에 극이 있으니 음양오행 이론의 변화에는 많은 법칙과 예외적인 원리가 존재합니다.

음양오행의 다른 표현인 십간과 그 뜻을 설명하겠습니다.

(음양오행이란 사람들이 보통 알고 있는 것과 같이 모든 것에 음과 양이 있고, 또 목화토금수의 오행이 있다는 이론으로, 오행을 음과 양으로 분리하여 열 가지로 표현합니다. 그리고 이를 명리학에서 목을 갑과 을로, 화를 병과 정으로 토를 무와 기로, 금을 경과 신으로 수를 임과 계로 표현하는 것입니다. 즉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는 음양오행이라는 표현 대신 오행에 음과 양을 붙여서 표시한 기호이지 특별히 신비한 그 무엇이 아니다. 아라비아 숫자가 약속기호이듯이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또한 약속기호라고 보면 됩니다. 이른바 십간으로 음양오행을 표현하는 것에 문제는 없지만, 일단 오행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의미를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목(갑, 을): 방향 = 동쪽 / 색 = 청색, 녹색 / 신체부위 = 간, 담
화(병, 정): 방향 = 남쪽 / 색 = 적색 / 신체부위 = 심장, 소장
토(무, 기): 방향 = 중앙 / 색 = 황색 / 신체부위 = 비장, 위장
금(경, 신): 방향 = 서쪽 / 색 = 백색 / 신체부위 = 대장, 폐장
수(임, 계): 방향 = 북쪽 / 색 = 흑색 / 신체부위 = 방광, 신장, 자궁, 뇌수

여기서 오행에 음양을 붙여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로 표현할 경우, 색과 신체장부, 방향을 나타낸다면 혼란스럽게 보일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사주 명리학의 이론은 이 음양오행 이론을 근거로 만들어졌고, 이를 사람에게 적용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발전해 왔다. 하지만 근거는 여전히 태양과 달의 음양과 지구를 토라고 보는 오행성이다.

  십간과 아라비아 숫자의 동질성과 차이점을 설명합니다.


아라비아 숫자와 동일한 점으로는 순서의 개념이 있습니다. 반면 차이점으로는 색이나 방향, 신체부위가 내포되어 있지 않습니다. 십간이 아라비아 숫자보다 훨씬 고차원적인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십간이 아닌 오행은 숫자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목( 3, 8) 화( 2, 7) 토(5, 10) 금(4, 9) 수(1, 6)

음양오행의 변화를 설명합니다.


사람들은 음양오행을 바탕으로 천체를 관측하면서 일정한 규칙의 패턴을 잡아내고, 이를 토대로 음양오행의 다른 표현인 십간의 변화를 알아내면서 음양오행의 변화를 추리해 내게 되었습니다. 해가 지면 달이 뜨고 달이 지면 해가 뜨는 원리처럼 양이 지나면 음이 오고 음이 지나면 양이 돌아오니 음과 양은 항상 지구에 변화를 줍니다. 양의 오행과 음의 오행 또한 쉴 사이 없이 변화하며 태양과 어우러져 돌아가니 일정한 규칙 속에서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되는 이치입니다. 나아가 봄이 가면 여름이 오고 가을이 오면 곧 겨울이 오는 이 모든 변화가 태양계의 변화에서 오는 문제이니 달과 오행성과 태양의 변화가 오행 중 하나인 지구(토)에 사는 우리들에게 영향을 미치므로 지구를 기준으로 파악하건 다른 측면에서 파악하건 음양오행의 변화는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오행의 변화에 대한 규칙 혹은 약속입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태양계의 순서는 태양, 수성, 금성, 토성, 화성, 목성의 순서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반대로 목성에서 보면 목성, 화성, 토성, 금성, 수성의 순서로 나열되어 태양을 기점으로 돌고 있으니 목성이 화성의 기운을 생해주고, 화성은 토성의 기운을 생해주고, 토성은 금성의 기운을 생해주고, 금성은 수성의 기운을 생해줍니다. 이 원리를 원으로 그려 다시 수성이 목성을 생해준다는 이론적인 약속을 하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이를 다시 응용하여 목성이 바로 앞의 화성은 생해주나 두 번째 앞에 있는 토성은 극한다고 약속을 하게 되니, 목이 토를 극하고, 화가 금을 극하고, 토가 수를 극하고, 금이 목을 극하고, 수가 화를 극한다고 규정하게 된 것입니다. 그러나 이 이론은 오행성의 구조를 보고 만들어낸 패턴일 뿐입니다. 즉 태양과 달의 관계를 포함해서 만든 것이 아니라 오행만으로 모든 것을 판단하는 방법으로 잘못된 점이 없습니다.
최근 오행을 이용한 오행생식이나 오행기공 같은 것들이 유행하고 있으나, 이 모든 것이 음양오행이라는 체계적인 학문의 한 부분인 오행만으로 판단하는 방법으로서 원래의 명리학적 관점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나아가 오행만으로 푸는 사주책도 시중에 유포되고 있는데, 이들 책에서는 목이 몇 개, 토가 몇 개, 수가 몇 개 있다는 식으로 표현하면서 '화가 없어 불이 필요하니 남쪽에 살아라', '수가 부족하니 강에서 살아라'라는 식으로 풀이하여 사주를 비과학적인 부분으로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이 점을 잘 판단하여 공부하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