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신 분석3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11편(세부적인 용신 구분, 용신격) 이번 장의 내용은 낭월 박주현님이 학문을 통하여 용신을 세부적으로 구별하는 방법입니다. 용신격에 대하여 배워 보겠습니다. 용신격용신론과 격국론을 합하여 만들어 진 것이 용신격인 것이다. 용신격은 오행생극제화의 상황 판단을 통하여 격을 이루는 것이다. 우선 용신을 찾는 실력을 가장 빠르게 갖추는 방법은1만 시간의 법칙과 같이 1000개의 사주를 풀어보며 심도 깊게 해석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그럼 신강한 사주들을 통하여 용신격을 정리해 보겠다. 사주중에 인성이 많은 경우 인중용재격 또는 기인취재격을 예로보겠다. 억부법의 형식으로 사주에 인성이 많으면, 인성을 극하는 재성을 용신으로 삼는 것이다.이때 용신이 바로 옆에 붙어 있을 경우 유정하다고 한다. 반대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무정하다고 한다. 용신은.. 2025. 4. 24.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10편(특수격, 종격과 화격) 이번 장에서는 특수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특수격으로 전왕법 중 종격과 화격이 있는데, 이는 특수한 경우에 형성되는 격으로써 크게 비중을 두고 공부하지는 않습니다.그럼 특수격에 대하여 배우겠습니다.사주팔자가 한 가지의 오행으로 몰려 있는 경우를 우리는 외격이라고 부른다. 사주의 대부분은 웬만하면 정격이라고 하지만,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진다면 전왕법으로 해석하는 것이 잘맞는 경우가 있다. 1. 전왕법우선 전왕법에 있어 종격을 먼저 설명하겠다. 종격은 세력을 따른다는 의미로 5가지로 구분이 된다.나와 같은 세력이 많아서 비겁의 오행으로 종하는 것은 종왕격이 된다.이것을 흔히 일행득기격이 된다. 인성으로만 이루어진 사주를 종강격이라고 한다.식상으로만 이루어진 경우를 종아격이라고 한다.재성으로만 이루어.. 2025. 4. 23. 낭월 박주현 사주명리학 도서 9편(용신 분석, 억부-조후-병약-통관) 이번편은 본격적으로 용신을 찾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억부용신, 병약용신, 조후용신 3가지를 배우겠습니다. 억부용신 가장 먼저 용신을 찾기 위해서는 억부법을 대부분 사용합니다. 사주팔자에 있어 용신을 찾기 위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분이 억부법입니다. 억부법이 사주 용신을 찾는 방법중 90%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억부법을 어떻게 구분하는지 배워보겠습니다. 억부법에 억은 누를 억(억)자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부는 도울 부(부)자를 사용합니다. 위의 뜻처럼 억부법에 있어 사주원국의 신강과 신약을 구분하는 것이 최우선입니다. 일간의 기준으로 신강하면 억압하고, 신약하면 도와주는 강약법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억압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재,관,인) 사용과 도우는 방법에 있어서도.. 2025. 4. 2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