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세17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30장) 60 갑자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인, 을묘, 병진, 정사, 무오, 기미, 경신, 신유, 임술, 계해일은 지지가 자와 축이 공망이 됩니다. 이번 일주들은 병진일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간여지동이거나 양인살, 괴강살과 백호대살이 있는 일주입니다. 사주의 구성을 보고 판단을 하겠지만 일주 자체가 전부 강인한 일주로 볼 수 있습니다. 간여지동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존심, 주관, 고집이 센 것이 특징입니다. 갑인일주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인일주는 갑목에 지지마저 인 목이라 나서는 기질과 책임을 지려는 면이 강합니다. 남에게 지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만큼 독립심이 강하고 배짱 있게 살아가며, 정도 많은 성격입니다. 작은 재물에는 관심이 없고 항상 큰 것을 생각하기 때문에 적절한 직업을 구하지 못하면 한.. 2023. 7. 20.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9장) 오늘은 60갑자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진일, 을사일, 병오일, 정미일, 무신일, 기유일, 경술일, 신해일, 임자일, 계축일에로 지지의 인과 묘가 공망이 되겠습니다. 갑진일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진일은 백호대살의 일주로 일주에 진이 무토이니 편재의 기질이 나타나 재물에 대한 집착도 있고 돈 버는 재주도 좋은 사람입니다. 겁이 없어 남의 말을 좇다 많은 돈을 날리는 편이며, 나서려는 갑의 기질에 편재가 있으므로 좋은 일에 돈 쓰는 것을 아까워하지 않는 편입니다. 진이 편재이면서 부인도 되므로 부인이 갑작스럽게 죽을 수 있습니다. 갑목이 진토의 기운을 계속 뽑아내기 때문입니다. 을사일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을사일은 지지 사화에 병화가 있으므로 상관에 해당하나 을의 천성이 차분한 편이라 밖으로 표.. 2023. 7. 19.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8장) 60갑자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오일, 을미일, 병신일, 정유일, 무술일, 기해일, 경자일, 신축일, 임인일 계묘일은 지지의 진, 사가 공망이 됩니다. 갑오일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오일은 일간에서 보아 일지가 지장간에 정화가 있으며, 상관의 기질이 강하며, 일간이 갑 이므로 성격이 급한 편입니다. 상관의 기질과 갑이 합하니 사람을 잘 챙기고, 특히 아랫사람을 잘 배려합니다. 멋을 알고 풍류와 식도락을 즐기는 사람이니 마음은 선합니다. 을미일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을미일은 차분한 성격에 싹싹한 사람이며, 일지의 미토가 편재라 재물에 대한 관심이 남다른 사람입니다. 치밀한 성격이지만 다소 예민한 편입니다. 미토는 적토에 해묘미 삼합을 하며 지장관에 을목이 있어 힘을 받을 수 있는 일주입니다. 병.. 2023. 7. 18.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7장) 60갑자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신일, 을유일, 병술일, 정해일, 무자일, 기축일, 경인일, 신묘일, 임진일 계사일은 지지의 오, 미가 공망이 됩니다. 갑신일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신일은 일지 편관에 일간이 갑이라 총명하고 활동적이나, 성격이 급하고 싫증을 잘 내며 매사에 끝맺음을 잘 못하는 면이 다소 있습니다. 대인관계에 변화가 많고 배신과 실패를 경험하기 쉬우며, 고향을 떠나 살아갈 일주입니다. 다른 지지에 인과 사가 있으면 인,사,신 삼형살을 이루어서 의료업에 종사 할 수 있습니다. 을유일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을유일은 일지 편관의 공격을 받지만 유의 지장간 중 경금이 있으니 을경합의 기운도 있습니다. 성격이 정직하고 사심이 없으며 유순하지만 소심한 편입니다. 편관이 있어 일을 할 때 .. 2023. 7. 17.
명리학 공부(입문편 13장) 괴강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임진, 경진, 경술, 무술을 괴강살이라 하며, 이 네 주중 하나라도 있으면 괴강으로 봅니다. 일주가 괴강이면 머리가 총명하고 능력이 상당히 많은 기질이 있는데, 괴강의 특징은 지지가 진과 술로만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보통 괴강살을 흉살로도 보고 여명에 일주가 괴강이면 남자와 인연이 없거나 남자가 오래 살지 못한다는 등 안 좋은 내용이 많습니다. 반대로 아주 능력 있는 남자를 만나서 크게 성공하는 사람이 된다고 하는데,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괴강 일주가 있는 사주의 특징은 보통 소유욕과 성취욕이 강하고, 사람을 지배하고자 하는 충동이 강하다는 것입니다. 남자든 여자든 상대 이성에 대한 독점용이 강하여 잘못하면 상대방을 괴롭게 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합니.. 2023. 6. 26.
명리학 공부(입문편 12장) 운의 충과 형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사주에 충이 없더라도 누구나 대운이나 세운을 거치면서 충을 접하게 됩니다. 이 경우 충으로 인한 인간사 문제나 질병의 문제로 잠시 고생할 수 있으나 슬기롭게 처신하면 큰 탈은 생기지 않으니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너무 걱정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세운이 합이 되면 미혼인 경우 대개 이성의 관심을 얻게 되니 결혼할 시기라고 하며, 대운이 합이 되면 합된 오행의 변화된 결과를 용신과 비교하는 것으로 사용함이 타당합니다. 지지충이 오면 충이 오는 시기에 미혼에 연인이 없었으면 연인이 생길 시기요, 연인이 있었다면 헤어짐의 아픔이 생기거나 잠시 이별수에 마음이 외롭게 되는 경우를 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누구나 충이 온다고 해서 헤어짐으로 이어지지는 않으니 상대방의.. 2023.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