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11장)
일간과 지지충에 따른 건강문제를 설명합니다. 지지에 충이 있으면 그충을 가지고 그대로 어디가 아프다고 말할 수도 있으나, 사실 지지의 충이나 대운과 세운의 충만 따져서는 정밀한 판단을 하기 어렵습니다. 같은 충이어도 일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거나 더욱 정확해지니 지지충이 원인이 되어 오는 질병을 검토하여 일간에 따라 장기의 특성과 연관하여 검토해야 합니다. 자오충이라 해도 일간이 병, 정, 갑, 무일 경우에는 다뇨증세보다는 신경성 질병이 생길 여지가 있으며, 일간이 경, 신, 임, 계 일 때는 다뇨증세가 심해지는 문제로 변해가니 같은 충이라도 일간을 자세히 검토해야 합니다. 갑, 을 일간의 건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은 담낭에 해당하므로 묘유충, 축미충, 진술충의 작용이 강해지며, 자오충이 오면 신..
2023. 6. 24.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6장)
사주명리학 월주 구하는 법 월주 역시 위의 연주를 구하는 공식과 같이 십이 절기인 입춘, 경칩, 청명, 입하, 망종, 소서, 입추, 백로, 한로, 입동, 대설, 소한이 지났으면 그 달의 월주를 쓰고, 절기가 지나지 않았으면 전달의 월주를 쓰는 법이니 이를 혼동하면 안 된다. 단 달이 나오고 연간이 있으면 월간이 결정되는 공식이 있으니 이를 월간지 조견표라 하며 다음과 같다. 한 해의 연간과 달이 정해지면 월간이 정해지니, 이는 행성의 변화에 일정한 규칙이 있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위의 도표를 보고 일일이 만세력으로 검토하여 사주를 구했으나, 지금은 과학의 발달과 컴퓨터라는 새로운 도구로 인하여 일일이 사주를 구하지 않아도 양력이든 음력이든 생년월일만 알면 사주가 나오게 되니 원리만 알면 실습은 거의 무용..
2023.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