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팔자26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5장) 60 갑자의 풀이와 성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60 갑자 중에서 처음 시작 시작되는 갑자, 을축, 병인, 정묘, 무진, 기사, 경오, 신미, 임신, 계유는 지지의 술해는 공망이 됩니다. 그리고 십간과 12 지지를 12번 돌면 모든 일주를 계속 돌게 되는 것입니다. 매일 60 갑자가 돌고, 월주도 60 갑자로 순환되며, 세운 또한 매년 60 갑자로 순환됩니다. 갑자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에 자가 있으므로 갑이 볼 때 지지의 자는 목욕에 해당합니다. 또 갑을 비견으로 볼 경우, 자는 십간 중에 계에 해당하므로 정인이 된다. 즉 지지에 목욕과 정인이 있으므로 갑의 나서는 기질과 정인의 봉사심이 결합하여 남의 위한 봉사에 앞장서는 성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지지가 목욕에 해당하므로 이성에 관심이 .. 2023. 7. 9.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3장) 일간의 강약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사주를 볼 때 가장 먼저 일간의 강약을 따지게 되는데, 이는 살아가면서 주관이 어느 정도인지가 중요한 데다 일간이 다른 7가지 간지와의 관계에서 자신의 기운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사주에서는 일간이 너무 강한 것도 문제고, 너무 약하면 주관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너무 약한 것도 안 좋다고 봅니다. 물론 한 가지 기운으로 치우치면 종하는 것이 되어 흉함이 길함으로 바뀌는 사주가 있으나, 보통은 일간의 기운이 약간 강해야 합니다. 그런데 일간의 강약을 결정하는 데서 오행만으로 판단하는 법이 널리 퍼져서 목이 몇 개, 토가 몇 개라는 식으로 파악하여 일간이 강하다 약하다 하고 가르치고 있는데, 실은 일간의 강약 결정은 단순히 오행의 숫자만으로 판단하는 것이 아니다. 강하다 .. 2023. 7. 7.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2장) 편관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편관은 일간을 극하는 오행으로 음양이 일간과 같은 것이며, 다른 말로 칠살이라고도 합니다. 남자의 경우 자식을 의미하며, 여자의 경우 정관이 없으면 남편으로 보고, 정관도 있고 편관도 있으면 정부나 애인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다 그런 것은 아닙니다. 편관은 기질이 강하고 거칠 뿐 아니라 저돌적인 면이 있어 식신 같이 쾌활하고 사람들과 잘 어울릴 수 있는 면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를 "편관이 흉신이니 식신의 극을 요한다"는 말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이름하여 '식신제살'이라 말합니다. 편관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편관은 거칠고 강한 면이 있기 때문에 일간이 강하고 편관이 강한 중에 식신의 극함이 없으면 사람이 아주 강하고 권력을 지향하는 편이라 운이 좋으면 군이나 검찰 .. 2023. 7. 6.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1장) 정재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정재는 일간이 극하면서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것을 말하는 것으로, 편재가 부친이니 정재는 부친과 음양이 다른 오행, 즉 고모이다. 이는 남녀 모두에 해당합니다. 또한 남자가 볼 때 본부인, 여자가 볼 때 정관을 생해눈 것이 정재이므로 이를 시어머니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다소 이설이 있으나 대부분 오행도의 응용일 뿐입니다. 정재의 의미는 안정적이고 바른 재물을 의미하는 것이나 다소 보수적인 면이 있으며 절약의 의미를 내포하기도 합니다. 물론 정재는 편재와 같이 재물을 의미하며, 편재가 유통이나 일확천금, 대규모의 사업을 의미한다면 정재는 안정적이고 끈기 있게 저축하는 재물, 절약으로 인한 재물이나 오래 지켜온 부동산 등 변화가 심하지 않은 보수적인 재물을 의.. 2023. 7. 5.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0장) 식신과 상관의 장점과 단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식신과 상관은 같은 기운에 음양만 다른 것이지만 각각 장점과 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는 머리가 좋고 속마음을 잘 표현하며 예술적이면서 창조적인 기질이 강한 특징을 보입니다. 식신은 솔직하며 명랑 쾌활하고 남의 단점보다는 장점을 보는 편이며, 다툼보다는 어울리는 것을 좋아합니다. 또 식신답게 음식을 좋아해 만남과 회식을 즐기는 편인데 이러한 면이 지나치면 대인관계는 좋아지나 식도락을 즐기는 면 때문에 자신의 본연의 임무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정이 많은 점은 장점이나 정을 주다가 마음의 상처를 입기 쉽습니다. 천성이 착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상관은 상당히 논리적이며 창조적이고 승부심이 강한 성격이라 남에게 지는 것을 무척 싫어합니다.. 2023. 7. 4.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19장) 식신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식신이란 일간이 생해주는 오행으로 음양도 같은 것을 말합니다. 식신은 명량 쾌활하며 매사에 성실히 임하고 정이 많은 특질이 있습니다. 여자가 볼 때 식신은 자식이며, 편재를 생해주고 정재도 도와주니 부친을 잘 봉양하는 면이 있습니다. 언변이 좋고 남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하며 성격 또한 솔직한 면이 강한데, 월지가 식신이면 더욱 그러한 면이 강합니다. 편관의 거친 성질을 제어하여 일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식신은 먹을 식자라 식도락을 즐기는 면이 있다고 하는데, 이것은 입과 관련된 부분이 발달해 음식이나 노래를 즐기고 언변이 있으며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하는 면이 많음을 의미합니다. 솔직한 데다 말하는 것을 좋아해 천성이 비밀이 없는 기질이라 비밀스러운 만남을 싫.. 2023.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