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팔자26

명리학 공부(입문편 18장) 겁재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양일간에 오행은 같으나 음양이 다른 것을 겁재라고 합니다. 일간과 오행은 같고 음양만 다르기 때문에 형제라고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성별이 다른 형제나 자매라고 보면 됩니다. 겁재의 성질상 일간이 약하면 도와주는 면이 강하고, 또 겁재가 적당하면 용감한 면이 있습니다. 물론 겁재가 너무 많거나 잘못되면 너무 자기 주관적이라 안하무인의 기질이 강하고 사람을 대할 때 교만한 면이 엿보일 수 있습니다. 사주에서 겁재를 흉성이라 하여 제어가 필요한 정관이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이치는 맞지만 무조건 흉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겁재가 흉함을 나타내면 동업자가 재산인 정재를 극하는 식이므로 동업은 금물입니다. 일간이 약한 달에 태어나 기운이 약할 때 겁재가 있으면 도움을 주니 살아가면.. 2023. 7. 1.
명리학 공부(입문편 15장) 12 운성과 공망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12 운성이란 다른 말로 포태법이라 말하기도 하는 것으로, 천간의 간과 십이지지의 관계에서 어떤 간이 어떤 지를 만났을 때 강하게 되고 약하게 되는지를 판단하는 ㄷ 사용하는 도표입니다. 사주를 볼 때는 주로 일간만으로 지지와의 관계를 살펴서 12운을 적어나가니 12운이란 절,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를 말합니다. 12 운성과 가족과의 판단을 설명하겠습니다. 12 운성을 가지고 가족관계를 판단하는 법이 있으나, 이는 실제로 검증하기도 힘들뿐더러 맞지 않은 부분도 많습니다. 예를 들어 통변성 정재에 목욕이 동주하면 부인이 미인이거나 바람기가 있다는 말이나 정관이 장생이면 남편이 상당히 발전한다는 식의 논리는 용신과 비교도 하.. 2023. 6. 28.
명리학 공부(입문편 13장) 괴강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임진, 경진, 경술, 무술을 괴강살이라 하며, 이 네 주중 하나라도 있으면 괴강으로 봅니다. 일주가 괴강이면 머리가 총명하고 능력이 상당히 많은 기질이 있는데, 괴강의 특징은 지지가 진과 술로만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보통 괴강살을 흉살로도 보고 여명에 일주가 괴강이면 남자와 인연이 없거나 남자가 오래 살지 못한다는 등 안 좋은 내용이 많습니다. 반대로 아주 능력 있는 남자를 만나서 크게 성공하는 사람이 된다고 하는데,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괴강 일주가 있는 사주의 특징은 보통 소유욕과 성취욕이 강하고, 사람을 지배하고자 하는 충동이 강하다는 것입니다. 남자든 여자든 상대 이성에 대한 독점용이 강하여 잘못하면 상대방을 괴롭게 하는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기에 조심해야 합니.. 2023. 6. 26.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11장) 일간과 지지충에 따른 건강문제를 설명합니다. 지지에 충이 있으면 그충을 가지고 그대로 어디가 아프다고 말할 수도 있으나, 사실 지지의 충이나 대운과 세운의 충만 따져서는 정밀한 판단을 하기 어렵습니다. 같은 충이어도 일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거나 더욱 정확해지니 지지충이 원인이 되어 오는 질병을 검토하여 일간에 따라 장기의 특성과 연관하여 검토해야 합니다. 자오충이라 해도 일간이 병, 정, 갑, 무일 경우에는 다뇨증세보다는 신경성 질병이 생길 여지가 있으며, 일간이 경, 신, 임, 계 일 때는 다뇨증세가 심해지는 문제로 변해가니 같은 충이라도 일간을 자세히 검토해야 합니다. 갑, 을 일간의 건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은 담낭에 해당하므로 묘유충, 축미충, 진술충의 작용이 강해지며, 자오충이 오면 신.. 2023. 6. 24.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10장) 사주에서 지지의 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자와 축이 하바여 토가 되고, 인과 해가 합하여 목이 되고, 술과 묘가 합하여 화가 되며, 진과 유가 합하여 금이 되고, 신과 사가 합하여 수가 되며, 오와 미가 합하나 오행은 변하지 아니한다. 그러나 지지합의 오행은 사주풀이에서 별로 적용도가 많지 않으므로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다만 자와 축이 수와 토지만 싸우지 아니하고, 묘와 술이 목과 토지만 싸우지 아니하고 신과 사가 금과 화지만 싸우지 아니한다는 점만 숙지하면 된다. 삼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삼합이란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사주에 신자진, 인오술, 해묘미, 사유축이 다 있을 경우 합하여 오행이 변하는 것을 말한다. 신자진이면 신의 금과 진의 토가 자수로 변하여 전체가 수로 변한다는 것이.. 2023. 6. 23.
명리학의 공부(입문편 9장) 지지의 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지지충은 사주명리학에서 아주 중요한 것으로, 바로 인근 한 충은 중요하지만 건너서 있는 충은 그리 중요하지 않습니다. 대운이나 ㅔ운에서 오는 충도 상당히 중요한 편입니다. 일지에 충이 있거나 대운이나 세운에서 충이 오면 가정사에 변화가 심해지거나 일신에 변동이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충마다 작용이 약간 다르나 건강에 장애가 생기기 쉽습니다. 자오충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자는 방광을 의미하고 오는 소장을 의미하니 자오가 충을 이루면 방광과 소장에 문제가 생기기 쉬워 다뇨증으로 고생하거나 소장에 탈이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소화는 되어도 아랫배가 찬 경우가 많은 탓에 설사를 자주 하게 됩니다. 일지를 기준으로 자와 오가 충하면 머리는 좋으나 과민하여 신경이 예민해지는.. 2023. 6.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