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명리학28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1장) 정재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정재는 일간이 극하면서 일간과 음양이 다른 것을 말하는 것으로, 편재가 부친이니 정재는 부친과 음양이 다른 오행, 즉 고모이다. 이는 남녀 모두에 해당합니다. 또한 남자가 볼 때 본부인, 여자가 볼 때 정관을 생해눈 것이 정재이므로 이를 시어머니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다소 이설이 있으나 대부분 오행도의 응용일 뿐입니다. 정재의 의미는 안정적이고 바른 재물을 의미하는 것이나 다소 보수적인 면이 있으며 절약의 의미를 내포하기도 합니다. 물론 정재는 편재와 같이 재물을 의미하며, 편재가 유통이나 일확천금, 대규모의 사업을 의미한다면 정재는 안정적이고 끈기 있게 저축하는 재물, 절약으로 인한 재물이나 오래 지켜온 부동산 등 변화가 심하지 않은 보수적인 재물을 의.. 2023. 7. 5.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20장) 식신과 상관의 장점과 단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식신과 상관은 같은 기운에 음양만 다른 것이지만 각각 장점과 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공통적으로는 머리가 좋고 속마음을 잘 표현하며 예술적이면서 창조적인 기질이 강한 특징을 보입니다. 식신은 솔직하며 명랑 쾌활하고 남의 단점보다는 장점을 보는 편이며, 다툼보다는 어울리는 것을 좋아합니다. 또 식신답게 음식을 좋아해 만남과 회식을 즐기는 편인데 이러한 면이 지나치면 대인관계는 좋아지나 식도락을 즐기는 면 때문에 자신의 본연의 임무를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정이 많은 점은 장점이나 정을 주다가 마음의 상처를 입기 쉽습니다. 천성이 착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상관은 상당히 논리적이며 창조적이고 승부심이 강한 성격이라 남에게 지는 것을 무척 싫어합니다.. 2023. 7. 4.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19장) 식신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식신이란 일간이 생해주는 오행으로 음양도 같은 것을 말합니다. 식신은 명량 쾌활하며 매사에 성실히 임하고 정이 많은 특질이 있습니다. 여자가 볼 때 식신은 자식이며, 편재를 생해주고 정재도 도와주니 부친을 잘 봉양하는 면이 있습니다. 언변이 좋고 남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하며 성격 또한 솔직한 면이 강한데, 월지가 식신이면 더욱 그러한 면이 강합니다. 편관의 거친 성질을 제어하여 일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식신은 먹을 식자라 식도락을 즐기는 면이 있다고 하는데, 이것은 입과 관련된 부분이 발달해 음식이나 노래를 즐기고 언변이 있으며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하는 면이 많음을 의미합니다. 솔직한 데다 말하는 것을 좋아해 천성이 비밀이 없는 기질이라 비밀스러운 만남을 싫.. 2023. 7. 2.
명리학 공부(입문편 18장) 겁재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양일간에 오행은 같으나 음양이 다른 것을 겁재라고 합니다. 일간과 오행은 같고 음양만 다르기 때문에 형제라고 하는데, 구체적으로는 성별이 다른 형제나 자매라고 보면 됩니다. 겁재의 성질상 일간이 약하면 도와주는 면이 강하고, 또 겁재가 적당하면 용감한 면이 있습니다. 물론 겁재가 너무 많거나 잘못되면 너무 자기 주관적이라 안하무인의 기질이 강하고 사람을 대할 때 교만한 면이 엿보일 수 있습니다. 사주에서 겁재를 흉성이라 하여 제어가 필요한 정관이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이치는 맞지만 무조건 흉하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겁재가 흉함을 나타내면 동업자가 재산인 정재를 극하는 식이므로 동업은 금물입니다. 일간이 약한 달에 태어나 기운이 약할 때 겁재가 있으면 도움을 주니 살아가면.. 2023. 7.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