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15

사주, 서로 피해야 될 궁합(3편) 형, 충, 파, 해 지난 시간 서로 피해야 될 궁합 2편 충에 대하여 배웠습니다. 이번시간은 사주의 형, 파, 해, 그리고 기신을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사주팔자 원국에 자신의 배우자 궁인 일지를 기준으로서로 원진, 충, 그리고 오늘 하는 형, 충, 파, 해를 볼 것입니다.앞전에 충은 따로 다뤘습니다. 왜냐면 궁합에 있어 충은 크게 작용하기에 그렇습니다. 오늘은 형과 파, 해를 비울 것입니다.  물론 궁합편이라 원리는 가볍게 다룰 것입니다. 그럼 형, 파, 해의 작용은 어떻게 되는지 먼저 설명 드릴게요^^   우선 형의 종류를 설명 하겠습니다. 인-사-신 (지세지형) : 지세지형은 한자의 뜻과 같이 자기의 세력을 믿고 저돌하여 일을 좌절시키며, 십이운성 중 장생, 건록, 제왕 등 왕성한 십이운성이 사주중에 같이 있으면.. 2025. 1. 16.
사주, 서로 피해야 될 궁합 2편(원진) 지난 시간 서로 피해야 될 궁합 1편으로 충을 배웠습니다.  그렇다면 오늘은 서로 피해야될 궁합 2편인 원진살을 배워보겠습니다.  신살 특집에 미리 다루지 못하여서 지금 궁합편에서는 원진살을 아주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원진살이란?  원진살은 원망하고 미워하고 증오하는 마음을 갖는 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서 궁합에 원진살을 볼때는 상대방 각각의 년지와 일지를 비교하여 봅니다.  특히, 서로 일지가 원진이 되면 좋은 관계로 지내기가 어렵습니다.  충과도 마찬가지입니다. 원진과 충이 있으면 원래는 연인이 되거나, 깊은 친구사이가 되기 힘듭니다. 그런데 막상 친하게 느껴지는 친구, 또는 애인이 충이나 원진이 있다면 이유는 하나입니다.  바로 서로의 용신인 일주이거나 또는 개운법이 작용한 것입니다.  개운법의.. 2024. 11. 28.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17장) 비견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비견은 일간과 같은 오행이면서 음양도 같기 때문에 사회생활에 응용한다면 어깨를 같이한다는 의미로 형제나 친구를 의미합니다. 어깨를 같이하고 길을 걸으면 동료나 형제가 같이 있으니 겁이 없고 자신감이 생기는 이치와 같아서 비견은 독립심이 강하고 능동적이며 승부욕이 강한 면이 있습니다. 그러나 자기 고집이 지나치면 단체생활에 문제가 생기기 쉽듯이 비견이 너무 강하면 이러한 단점이 생기게 됩니다. 또 자립심이 강해 스스로 독립하고자 하는 마음이 강한 기질이라 월지에 비견이 있다면 자수성가할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러나 독립하고자 하는 마음이 지나치면 사람들과 다툼이 자주 생기기 쉬우며, 이러한 성격으로 인해 월지에 비견이 있거나 사주에 비견이 많아 강해지면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싫어.. 2023. 6. 30.
명리학 공부(입문편 16장) 통변성과 십간이 자연과학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통변성이란 십간십이지로 표현된 사주팔자를 사람에게 적용하여 풀이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사실 사주팔자란 특정한 날, 특정한 시점의 시간적 공간적 표현이므로 사람에게 적용할 정해진 규칙이 없었다. 즉 통변성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어 인생의 여러 가지 제반사를 파악하기 위한 새로운 규칙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통변성에는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등 열 가지가 있으며 일간을 비견으로 고정하여 둔 후 음양오행도의 규칙적인 흐름도에 맞추어 각각의 십간십이지에 통변성을 부여합니다. 목화토금수가 목은 갑을, 화는 병정, 토는 무기, 금은 경신, 수는 임계로 표현하며, 통변성 열 가지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 순서대로 비견, .. 2023. 6. 29.
명리학 공부(입문편 14장) 도화살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인오술일 출생은 묘가 도화며, 신자진일 출생은 유가 도화며, 사유축일 출생은 오가 도화며, 해묘미일 출생은 자가 도화이다. 이를 자세히 보면 지지 삼합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는데요, 도화는 자오묘유를 말하는 것입니다. 보통 도화는 일지를 기준으로 판단하나 연지를 기준으로 참고로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주에 자오묘유가 모두 있으면 편야도화라는 말도 여기에서 나온 유래입니다. 이 살이 있는 사람은 감성이 풍부하고 잘생긴 경우가 많아서 남녀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다고 하여 도화살이 있다고 하는 것이나, 도화가 사주에 있어도 잘생기지 않은 사람도 있고, 방탕과는 거리가 먼 성직자로 살아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사주를 일간과의 관계도 보지 않고 살만으로 판단한다면 해석에 있어 .. 2023. 6. 27.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11장) 일간과 지지충에 따른 건강문제를 설명합니다. 지지에 충이 있으면 그충을 가지고 그대로 어디가 아프다고 말할 수도 있으나, 사실 지지의 충이나 대운과 세운의 충만 따져서는 정밀한 판단을 하기 어렵습니다. 같은 충이어도 일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거나 더욱 정확해지니 지지충이 원인이 되어 오는 질병을 검토하여 일간에 따라 장기의 특성과 연관하여 검토해야 합니다. 자오충이라 해도 일간이 병, 정, 갑, 무일 경우에는 다뇨증세보다는 신경성 질병이 생길 여지가 있으며, 일간이 경, 신, 임, 계 일 때는 다뇨증세가 심해지는 문제로 변해가니 같은 충이라도 일간을 자세히 검토해야 합니다. 갑, 을 일간의 건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은 담낭에 해당하므로 묘유충, 축미충, 진술충의 작용이 강해지며, 자오충이 오면 신.. 2023.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