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서로 피해야 될 궁합(3편) 형, 충, 파, 해
지난 시간 서로 피해야 될 궁합 2편 충에 대하여 배웠습니다. 이번시간은 사주의 형, 파, 해, 그리고 기신을 배우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사주팔자 원국에 자신의 배우자 궁인 일지를 기준으로서로 원진, 충, 그리고 오늘 하는 형, 충, 파, 해를 볼 것입니다.앞전에 충은 따로 다뤘습니다. 왜냐면 궁합에 있어 충은 크게 작용하기에 그렇습니다. 오늘은 형과 파, 해를 비울 것입니다. 물론 궁합편이라 원리는 가볍게 다룰 것입니다. 그럼 형, 파, 해의 작용은 어떻게 되는지 먼저 설명 드릴게요^^ 우선 형의 종류를 설명 하겠습니다. 인-사-신 (지세지형) : 지세지형은 한자의 뜻과 같이 자기의 세력을 믿고 저돌하여 일을 좌절시키며, 십이운성 중 장생, 건록, 제왕 등 왕성한 십이운성이 사주중에 같이 있으면..
2025. 1. 16.
명리학 공부(입문편 16장)
통변성과 십간이 자연과학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통변성이란 십간십이지로 표현된 사주팔자를 사람에게 적용하여 풀이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사실 사주팔자란 특정한 날, 특정한 시점의 시간적 공간적 표현이므로 사람에게 적용할 정해진 규칙이 없었다. 즉 통변성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어 인생의 여러 가지 제반사를 파악하기 위한 새로운 규칙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통변성에는 비견, 겁재, 식신, 상관, 편재, 정재, 편관, 정관, 편인, 정인 등 열 가지가 있으며 일간을 비견으로 고정하여 둔 후 음양오행도의 규칙적인 흐름도에 맞추어 각각의 십간십이지에 통변성을 부여합니다. 목화토금수가 목은 갑을, 화는 병정, 토는 무기, 금은 경신, 수는 임계로 표현하며, 통변성 열 가지도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의 순서대로 비견, ..
2023. 6. 29.
명리학 공부(명리학 입문편 11장)
일간과 지지충에 따른 건강문제를 설명합니다. 지지에 충이 있으면 그충을 가지고 그대로 어디가 아프다고 말할 수도 있으나, 사실 지지의 충이나 대운과 세운의 충만 따져서는 정밀한 판단을 하기 어렵습니다. 같은 충이어도 일간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거나 더욱 정확해지니 지지충이 원인이 되어 오는 질병을 검토하여 일간에 따라 장기의 특성과 연관하여 검토해야 합니다. 자오충이라 해도 일간이 병, 정, 갑, 무일 경우에는 다뇨증세보다는 신경성 질병이 생길 여지가 있으며, 일간이 경, 신, 임, 계 일 때는 다뇨증세가 심해지는 문제로 변해가니 같은 충이라도 일간을 자세히 검토해야 합니다. 갑, 을 일간의 건강에 대하여 설명하겠습니다. 갑은 담낭에 해당하므로 묘유충, 축미충, 진술충의 작용이 강해지며, 자오충이 오면 신..
2023. 6. 24.